사회 사회일반

노사, 내년 최저임금 막바지 심의…격차 1820원까지 좁혀

노사, 3차 수정안 제시…노 1만1540원 vs 사 9720원

1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12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왼쪽)와 근로자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위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1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12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왼쪽)와 근로자위원인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위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사가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 막판에 수준 요구 차이를 좁히고 있다. 하지만 노사가 원하는 수준 격차는 1800원 이상이다.



11일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노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2차 전원회의에서 3차 수정안을 제출했다. 2차 수정안으로 1만 2000원을 제시했던 노동계는 460원 내린 1만 1540원을, 9700원을 요구했던 경영계는 20원 올린 9720원을 최저임금위에 제출했다.

관련기사



1차 수정안에 이어 2차, 3차 수정안의 변동 폭은 노사 수준 격차를 고려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노동계의 최초 요구안은 올해보다 26.9% 오른 1만 2210원이었다. 1차 수정안에서 80원, 2차 수정안에서, 130원, 3차 수준안에서 460원을 양보했다. 처음 올해와 같은 9620원을 요구했던 경영계도 1차와 2차에서 각각 30원, 50원 올렸다. 하지만 3차에서도 20원 양보하는 데 그쳤다.

최저임금 심의는 막바지로 향하고 있다. 심의는 재차 수정안을 내는 방식으로 노사가 격차를 좁혀간다. 지난해 심의는 3차 수정안까지 제출됐다. 이날 전원회의에서 노사가 4차 수정안이 제출될지 관심이다.

내년 최저임금은 13일 예정된 제 13차 전원회의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최저임금위는 근로자(노동계)·사용자(경영계)·공익위원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된다. 노사는 임금 수준에 대한 입장 대립이 팽팽해 합의를 한 전례가 드물다. 이 때문에 공익위원이 제시한 안을 표결해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게 관례처럼 됐다. 최저임금위는 8월 5일 고시일을 고려해 늦어도 이번 주까지 심의를 마쳐야 한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