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강하IC 포함된 서울-양평고속도로 추진…양평군, 첫 주민설명회

주민설명회 참석한 전진선 양평군수. 사진 제공=양평군주민설명회 참석한 전진선 양평군수. 사진 제공=양평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더불어민주당의 공세가 지속되면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경기 양평군이 11일 오후 3시 양서면 중동리 대아교회에서 첫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군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재추진 정비계획안을 정부에 건의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주민설명회에는 전진선 양평군수를 비롯해 윤순옥 양평군의회 의장, 주민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양서면 지역은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안이 지난 2021년 4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할 당시 종점으로 계획된 곳이다. 이곳은 70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이후 강상면으로 종점 계획이 변경된 후 노선이 전면 재검토됐다.

관련기사



안철영 양평군 도시개발국장은 “서울-양평고속도로는 2019년 4월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자문회의 개최 예타사업에 선정됐으며 당시 예타안에는 증동리, 청계리 지역에 분기점이 연결되는 계획”며 “올해 1월 국토부의 노선검토 협의 시 당초 예타안은 양평에 IC 계획이 없어 양평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에 주민 교통 편의를 위해서는 IC가 반드시 필요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강상을 분기점으로하는 강하IC를 설치하는 변경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양서면을 분기점으로 하는 당초안과 강상면을 분기점으로 하는 변경안을 비교하면 당초안은 양평군 내 IC 설치가 불가하고 600m 이상 교각을 세워야 해 인근 마을이 양분화 되고 주민불편 초래가 심각하다. 반면 변경안은 양평군내 IC 설치가 가능해 양평군민들이 서울 방향으로 진입하기 편해지고 교통량 또한 당초안 하루 교통량(1만 5800대)에 비해 2만 2300대를 분산 효과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증동리의 한 주민은 “증동리나 청계리는 당초안이 결정될 시에는 소음, 분진 등 주민피해가 막심하다"며 "반드시 고속도로는 건설돼야 하지만 주민의견을 잘 수렴해 주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결정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진선 양평군수는 “오늘 나온 주민들의 의견이 적극 반영된 고속도로 사업이 되길 희망한다"며 "고속도로 사업은 양평 군민의 염원”이라며 “양평을 위한 고속도로 사업 재개에 같은 목소리를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평=이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