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아세안과 新경제안보 협의체 구성…"中 경제적 위협에 공동 대처”

주요 '광물 공급망' 구축 논의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 격상

비상시 日 재정지원 확대 방안

방위장비 무상제공 제도 추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뉴스





일본과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경제안전보장과 관련된 새로운 협의체를 구성한다. 기시다 후미오(사진) 총리의 중국 디리스킹(위험 경감)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새 협의체는 주요 광물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비상시 일본의 재정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논의한다. 닛케이는 “중국이 수출 제한 등으로 가하는 ‘경제적 위압’에 공동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양측은 협력 관계를 맺은 지 50년이 되는 올해 12월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하고 관계를 ‘전략적파트너십’에서 ‘포괄적전략적파트너십’으로 격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일본이 포괄적전략적파트너십을 맺은 개별 국가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태국 등이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12~1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해 양측 간 협력 확대를 위한 중점 항목들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對)중국 억지력을 높이기 위해 가치관을 공유하는 국가에 방위 장비를 무상 제공하는 ‘정부안전보장능력강화지원(OSA)’ 제도도 추진한다. 이날 요미우리는 “외무성이 총합외교정책국 산하에 OSA의 사령탑 역할을 할 ‘안전보장협력실’을 설치했다”고 보도했다. OSA는 개발도상국을 지원 대상으로 하되 비군사 분야로 한정한 기존의 공적개발원조(ODA)와 별도의 틀로 만들어졌다. 일본은 ODA도 상대국의 요청을 받아 지원을 검토하는 기존 방식에서 지난달부터 일본에서 지원을 먼저 제안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식으로 손질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