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총파업에 돌입한 보건의료노조는 파업을 풀 전제조건으로 정부와 협상을 원하고 있다. 노조는 의료서비스와 인력 확충 등 요구조건 논의할 노정 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파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보건노조는 이날 총파업 관련 입장문을 통해 "사용자(병원)과 정부는 총파업 전 기대했던 해법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정부는 대화와 협상의 문을 닫았다"고 밝혔다. 13~14일 총파업에는 조합원 6만여명이 참여한다. 다만 1만5000여명은 의료필수인력으로 분류돼 실제 참가인원은 4만5000여명이다. 이는 2004년 보건노조 총파업 이후 최대 규모다.
보건노조와 정부는 2021년 9월 인력과 공공의료 확충에 대해 합의했다. 하지만 합의를 이행할 대책은 진전이 없었다는 게 노조 입장이다.
보건노조는 정부가 파업 피해 축소에만 매달리는 상황도 비판했다. 노조는 "정부는 전일 (우리와) 대화하지 않고 병원장과 파업 대책을 논의했다"며 "정부는 의료현장의 비정상을 돌려놓을 해법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가 총파업을 통해 요구하는 안은 크게 3가지다. 우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전면 확대다. 비싼 간병비 탓에 치료를 포기하는 가족을 돕는 취지의 제도다. 간호사가 돌 볼 환자수 축소도 요구사안이다. 현장에서는 간호사 1명이 환자 14~40명을 맡고 있는 실정이다. 노조는 공공의료 확충도 핵심 요구안으로 내걸었다.
노조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필수인력을 배치해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환자생명과 직결된 업무는 정상적으로 이뤄진다"며 "의료대란이나 심각한 의료공백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노조는 "국민에게 걱정과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