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와 요양보호사 등 의료종사자들이 19년 만에 대규모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틀간 이어지는 이번 파업에서 노조는 필수 인력을 남겨 환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했으나 의료 현장에서는 수술이나 진료 일정 취소·연기가 속출했다. 정부는 파업이 정당한 쟁의행위에서 벗어났다며 필요할 경우 업무복귀 명령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13일 오전 7시부터 총파업에 나서면서 전국 122개 지부 140개 사업장(의료기관)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항암 치료 및 수술 일정이 돌연 취소되거나 외래 진료 예약과 검진 일정이 미뤄진 경우가 많았다. 입원 환자들의 퇴원일을 앞당기는 일도 발생했다. 이날 서울 경희의료원에서 퇴원한 정 모(59) 씨는 “어제 수술을 받고 내일까지 입원할 예정이었으나 파업의 영향으로 오늘 급히 퇴원했다”고 말했다.
고려대안암병원·국립중앙의료원 등 일부 상급병원에서는 119종합상황실과 다른 병원에 ‘환자 전원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번 파업에 이른바 ‘서울 빅5’ 병원은 참여하지 않았지만 서울 소재 주요 대학병원을 비롯해 전국 20곳에 달하는 상급종합병원이 동참했다. 파업에 참여한 노조원 4만 5000여 명은 이날 낮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고 “인력 부족으로 인한 환자 피해와 필수의료·공공의료 붕괴 위기에 내몰린 의료 현장의 실상을 알리겠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14일에는 서울·부산·광주·세종 등 모두 4곳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노조가 발표하고 발언하는 내용을 보면 파업의 권한 범위를 벗어난다”며 “법적 검토를 면밀히 거쳐 필요하다면 업무복귀 명령까지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