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스레드 상승세 '주춤', 일일 이용자 수 감소…"일상화까지의 여정은 험난할 것"

"첫 출시 72시간 동안 최고였다"…"정체성 개척해야" 지적도

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의 새로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레드’. 사진=인스타그램 제공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의 새로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레드’. 사진=인스타그램 제공




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의 새로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레드’의 상승세가 다소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시간)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분석 플랫폼 센서타워(SensorTower)에 따르면 지난 11일과 12일 스레드의 일일 활성 사용자는 8일 대비 약 20% 감소했다. 이 기간 이용자들이 머문 평균 시간도 20분에서 10분으로 50% 줄어들었다.



통계 사이트 시밀러웹(Similarweb)에서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지난 7일 대비 지난 10일 일일 활성 이용자 수는 25% 감소했다.

관련기사



미국 이용자들이 스레드 앱에서 보낸 평균 시간도 지난 6일에 약 20분을 기록한 반면 나흘 뒤인 10일에는 8분이 조금 넘는 데 그쳤다.

센서타워 앤서니 바르톨라치 이사는 "스레드는 처음 출시 72시간 동안 그 자체로 최고였다"며 "일일 활성 이용자 감소는 스레드가 이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일상에서 자리를 잡기까지는 여전히 험난한 여정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시밀러웹의 수석 인사이트 매니저인 데이비드 카르는 "(이용자들이) 처음에는 (스레드) 앱을 확인하는 데 관심이 많았지만, 모든 이용자가 다른 소셜 앱만큼 스레드를 자주 방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스레드가 인스타그램에 의존하지 않는 고유의 정체성을 개척하고 사용자들이 머물도록 설득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스타그램을 기반으로 출시 5일 만에 이용자가 1억명을 돌파하는 등 인기를 끌었지만 이제 자신만의 특징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미디어 조사기관인 라이트쉐드 파트너스 공동 설립자인 리치 그린필드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가입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며 "중요한 것은 이들의 참여와 상호 작용"이라고 말했다.


차민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