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소환원제철 전환 급한데…포항제철소 부지 확장 진통

용광로 방식에서 수소환원제철 방식 전환

포항제철소 인접 공유수면 135만㎡ 메워 부지 확보

환경단체와 일부 주민 반대 목소리…어수선한 분위기 속 설명회 개최

연합뉴스연합뉴스




연합뉴스연합뉴스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을 위해 포항제철소 부지를 확장하는 사업이 진통을 겪고 있다.



14일 포스코에 따르면 세계적 기후 위기 대응 및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제철산업을 현재의 용광로 방식에서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현 포항제철소에는 수소환원제철소를 지을 부지가 없어 오는 2041년까지 포항제철소 인접 공유수면 135만㎡를 메워 부지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포스코는 13일 경북 포항시 남구 덕업근로자종합복지관에서 수소환원제철 용지조성사업에 대한 합동설명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설명회 시작 전부터 사업에 반대하는 환경단체와 주민이 행사장 안팎에서 머리띠를 두르고 피켓을 든 채 구호를 외치며 목소리를 높였다.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포스코 측은 오후 3시부터 약 30분간 설명회를 진행했다.

관련기사



설명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반대 단체 관계자가 행사장 주변을 점거한 채 구호를 외쳤고, 이중 일부가 단상에 올라가려고 하자 주최 측이 막아서는 과정에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반대 단체는 행사 시작 25분 만에 “더는 들을 필요가 없다”며 동시에 자리를 비웠다.

설명회가 끝난 뒤 포스코와 환경영향평가를 맡은 기관은 1시간여에 걸쳐 남은 주민을 대상으로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주민들은 포항제철소 인근 송도해수욕장 모래 유실 우려, 물고기 산란장 파괴에 따른 피해, 어민 피해 등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와 환경영향평가 담당 기관은 “수치모형실험결과 주변 해변에는 퇴적 속도에 변화가 없거나 조금 느려질 뿐이고 모래 유실은 없다고 나온다”며 “어업인 피해와 관련해서는 기존보다 많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겠다”고 답했다.

부지 확보를 위한 매립재는 용광로에서 쇳물을 뽑아내고 남은 부산물인 슬래그와 토사 등이 활용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환경영향평가 결과 해양수질, 해양퇴적물의 전 항목이 해양환경 기준을 밑돌고 대기질이나 악취, 토양 등도 대부분 환경 기준이나 허용 기준, 오염우려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고 포스코 측은 밝혔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달 1일에도 합동설명회를 개최하려고 했으나 반대측에서 자료집 미비와 소통 부족 등을 이유로 강하게 항의하면서 행사가 한차례 무산됐다.


포항=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