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국토 좁고 자원 없는 ‘수출 코리아’, 유럽으로 경제 영토 확장해야


한국이 폴란드와 손잡고 520억 달러(약 66조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폴란드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21세기 마셜플랜’으로 불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과 인프라 구축 등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국·폴란드·우크라이나 민관이 총 5000개의 재건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삼각 공조’ 구축에 나서는 것이다. 한국의 유럽 1위 무역 흑자국이자 최대 방산 수출국인 폴란드가 이제는 한국이 우크라이나 재건에 본격 참여하고 동유럽 수출 시장으로 파고들기 위한 교두보가 된 것이다.



좁은 영토와 자원 부족 때문에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국에 유럽은 ‘기회의 땅’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점점 커지는 유럽의 원전·방산·첨단산업 시장은 최근 부진한 한국 수출에 새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한국 수출에서 유럽 비중은 지난해 13.3%에서 올 상반기 15.9%로 높아졌다. 그런 점에서 윤 대통령이 리투아니아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노르웨이·스웨덴·루마니아 등 8개국과 첫 양자 정상회담을 하고 북·중유럽 국가와의 교역 확대를 논의한 것은 의미가 있다.

관련기사



대(對)중국 수출 비중이 올 들어 20% 아래로 떨어지는 등 교역 구조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경제권인 유럽 시장 공략은 한국 입장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다. 수출 시장의 외연을 키우지 못하고 특정 국가·품목에만 의존한다면 우리 경제는 금세 쪼그라들고 말 것이다. 지난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와중에 우리나라의 달러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비 7.9% 감소하고 경제 규모 순위가 세계 10위에서 13위로 미끄러진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 수출의존형 경제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거대 시장인 중국과의 교역 비중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유럽뿐 아니라 아세안·인도·중동·중남미 등 전 세계로 시장을 넓혀야 한다. 또 수출 품목을 반도체·자동차뿐 아니라 방산·원전·바이오 등으로 다변화하는 일도 서둘러야 한다. 기업의 경쟁력과 정부의 외교력을 결집해 경제 영토를 넓히는 것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딛고 ‘수출 코리아’가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