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테슬라 사이버트럭 첫 생산…年 최대 '50만대 양산' 조준

시제품 공개 후 4년 만에 제작

당초 예정보다 2년 가량 늦어져

월가 "2000대 그쳐" 평가 절하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 직원들이 15일(현지 시간) 첫 번째로 생산된 사이버트럭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테슬라 공식 트위터 캡처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 직원들이 15일(현지 시간) 첫 번째로 생산된 사이버트럭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테슬라 공식 트위터 캡처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전기 픽업트럭인 ‘사이버트럭’ 생산을 본격화한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 모델의 시제품을 공개한 지 약 4년 만이다. 테슬라는 생산이 시작되면 연간 25만~50만 대를 소비자에게 인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월가에서는 인도량을 2000대 수준으로 전망했다.

테슬라는 15일(현지 시간) 공식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려 “텍사스 소재 기가팩토리에서 첫 번째 사이버트럭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안전조끼와 헬멧을 착용한 직원 수백 명이 이를 축하하며 공장에서 완성된 사이버트럭 1대를 둘러싸고 찍은 기념 사진도 함께 공개했다.



사이버트럭은 2019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호손에서 머스크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행사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스테인리스스틸로 만들어진 차체와 공상과학(SF)풍의 쐐기 모양 디자인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당시 테슬라는 2021년 말~2022년 초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었으나 부품 수급 문제로 이를 올해 초로 미뤘다가 다시 올해 중반으로 연기했다. 양산 시점이 당초 계획보다 2년가량 늦어진 셈이다. 사이버트럭이 본격 양산되면 포드의 F-150, 제너럴모터스(GM)의 GMC 허머 EV, 리비안의 R1T 등 전기 픽업트럭과 경쟁하게 된다.

관련기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19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호손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사이버트럭 시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AFP연합뉴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19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호손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사이버트럭 시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머스크는 올 초 사이버트럭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이어 5월 주주총회에서는 생산이 궤도에 오르면 연 25만~50만 대를 고객에게 인도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시작 단계부터 너무 많은 재고를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이버트럭 차체에 스테인리스스틸을 쓰면서 조형과 용접이 다른 차량보다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도전 과제로 꼽기도 했다. 가격은 2019년 시제품 공개 당시 3만 9900~6만 9900달러(약 5100만~8900만 원) 수준으로 제시됐지만 현재는 주문 홈페이지에 가격 관련 내용이 삭제된 상태다.

월가에서는 올해 사이버트럭 인도량이 2000대 정도라는 예상이 제기된다. 이매뉴얼 로스너 도이체방크 애널리스트는 사이버트럭의 생산 공정 최적화가 어렵고 견인 시 더 큰 배터리팩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 제품이 회사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스럽다”며 “하반기 테슬라의 이익에 추가적인 역풍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