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판문점서 미국인 월북…유엔사 "北이 신병 확보"

월북한 미국인 신원은 일체 비공개

북미 간 협상 물꼬 틀지 주목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견학하던 미국인 1명이 18일 월북했다. 유엔군사령부가 이 미국인의 신원에 대해 함구하는 가운데 현재 북한이 신병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유엔군사령부는 이날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JSA를 견학하던 미국인 1명이 무단으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월북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우리는 현재 북한이 이 인원의 신병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사건 해결을 위해 북한군과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유엔사는 월북한 미국인의 성별이나 나이 등 신원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 JSA 경비대대는 유엔군사령부의 통제를 받으며 상황 발생 시에도 한국군이 아닌 유엔군사령부에 보고하도록 돼 있다.

미국이 월북한 자국민의 송환을 요구하면 북미 간 협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월북자의 송환을 두고 북미가 협상할 경우 의외의 국면 전환이 일어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과거 북한이 자국 내 억류하고 있던 미국 국적 언론인·선교사 등의 송환을 통해 미국과의 대화·협상을 시도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전날 담화에서 한미의 확장 억제 강화에 반발하며 주한미군 철수로도 비핵화 대화는 불가능하다고 밝힌 만큼 북미 간 대화가 시작되기까지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신들은 북한에서 한국으로 탈출하는 경우는 많으나 한국인 혹은 타 국적을 가진 사람이 북한으로 향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전했다. BBC는 “비무장지대(DMZ)는 남북한을 가르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견고한 국경 지역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