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저귀 생산량서 드러난 저출산·고령화 시대 단면…성인용이 어린이용의 2배

식약처 위생용품 생산수입 규모 발표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기저귀 생산·수입량에서 성인용 기저귀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린이용 기저귀의 2배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보인다.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2022년 위생용품 생산·수입규모'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용 기저귀 생산과 수입을 합한 공급량은 약 10만 7129t으로 어린이 기저귀 공급량 5만 8432t의 1.8배에 해당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어린이 기저귀 공급량은 2021년 6만8996t보다 15.3% 감소했으며 2019년 7만6145t에 비해서는 23.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인용 기저귀는 2021년 11만1911t에 비해 지난해 공급량이 4.3% 감소했지만, 2019년 8만6336t에 비해서는 2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생산액을 기준으로 보면 어린이용 기저귀가 지난해 2165억원, 성인용이 972억원으로 어린이용 기저귀 시장 규모가 더 컸다.

지난해 기저귀, 일회용품, 화장실용 화장지 등을 포함한 전체 국내 위생용품 생산액은 2조 2758억 원으로 전년 2조 16억 원 대비 13.7% 증가했고, 전체 수입액은 4604억 원으로 전년 3천960억 원 대비 16.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차민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