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병대 어이없는 실수…故채수근 상병 빈소에 아버지를 夫로 표기

해병대 “고인과 유가족에게 사과”

20일 경북 포항 해병대 1사단 김대식관에 해병대 고 채수근 상병의 빈소가 차려진 가운데 빈소 입구에 설치된 그의 영정 사진을 친인척들이 보고 있다. 포항=연합뉴스20일 경북 포항 해병대 1사단 김대식관에 해병대 고 채수근 상병의 빈소가 차려진 가운데 빈소 입구에 설치된 그의 영정 사진을 친인척들이 보고 있다. 포항=연합뉴스




해병대가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고(故) 채수근 상병의 빈소에 아버지를 한자로 ‘父(아버지부)’가 아닌 ‘夫(지아비부)’로 잘못 표기했다가 뒤늦게 바로잡았다.



21일 해병대에 따르면 전날부터 경북 포항의 해병대 1사단 내 체육관인 ‘김대식관’에 채 상병 빈소를 마련해 조문받고 있다.

관련기사



그러나 채 상병 빈소 알림판의 아버지를 표기하는 곳에 ‘아버지 부’ 대신 ‘지아비 부’ 자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해병대는 뒤늦게 사실을 인지하고 바르게 아버지부로 한자를 고쳤다.

해병대 관계자는 “어이없는 실수를 했고 고인과 유가족에게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채 상병에게 보국훈장 광복장이 추서된다. 보국훈장은 국가안전보장에 뚜렷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는 훈장으로 광복장은 보국훈장 중 병사가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훈격이다.

채 상병은 군인사법상 3가지 순직 유형 중 ‘순직1형’으로 인정받았으며, 전날 생전 소속 부대였던 해병대 1사단장 권한으로 일병에서 상병으로 추서 진급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