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무료 서비스 줄이자" 알바몬·알바천국 담합… 과징금 26억원

유료 서비스 결제 유도하려 무료 공고 등 축소

"무료 서비스 관련 거래조건 변경 합의도 담합"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플랫폼인 알바몬과 알바천국이 서로 짜고 무료 서비스를 축소해 이용자의 유료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알바몬(잡코리아)과 알바천국(미디어윌네크웍스)이 2018년 5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가격과 거래 조건을 담합한 행위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26억 원을 부과한다고 24일 밝혔다. 알바몬에 15억 9200만 원, 알바천국에 10억 8700만 원의 과징금이 매겨졌다.



알바몬(2020년 점유율 64.1%)과 알바천국(35.9%)은 단기 구인·구직 플랫폼 시장의 1·2위 독과점 사업자다.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검수 대기가 없는 즉시 등록 구인 공고나 눈에 잘 띄는 배너형 구인 공고, 구직자 이력서 열람, 알바 제의 문자 등은 유료 서비스다.

관련기사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2018년 시장 성장세 둔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시장 위축 등으로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자 무료 서비스를 축소하고 유료 결제 주기 단축을 유도하기로 했다. 단독으로 서비스 유료 전환을 추진하면 이용자가 다른 플랫폼으로 이탈할 수 있으니 담합을 모의해 경쟁을 차단한 것이다.

이들은 모임·휴대전화·문자메시지 등으로 여러 차례 연락하면서 무료 공고 게재 기간 및 무료 공고 건수 축소, 무료 공고 불가 업종 확대, 무료 공고 사전 검수 시간 연장 등을 합의했다. 이후에도 매출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치자 무료 서비스 추가 추소, 유료 서비스 가격 인상, 유료 공고 게재 기간 축소 등을 추가 합의했다.

이들은 이용자 반발을 줄이고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며칠 시차를 두고 새로운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 담합은 2019년 3월 공정위가 조사에 착수한 뒤에야 중단됐다.

공정위는 이를 중대한 위반 행위로 보고 관련 매출액(법 위반 기간 유료 서비스 전체 매출액) 669억 원에 부과 기준율 5%와 감경 기준 등을 적용해 과징금을 산정했다. 통상 온라인 플랫폼은 초기에 네트워크 효과를 얻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시장이 독과점화하면 점차 유료 전환, 가격 인상을 통해 수익을 늘린다.

이번 조치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무료 서비스를 축소하고 유료 전환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담합을 제재한 첫 사례다. 고인혜 공정위 서비스카르텔조사팀장은 “알바몬·알바천국의 주 이용자인 중소 사업자, 소상공인 등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부담이 늘어난 상황에서 담합으로 부담이 더 가중됐다”며 “가격뿐만 아니라 무료 서비스 관련 거래조건 변경 합의도 담합에 해당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