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소비 감소와 소득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가계의 초과저축이 최대 국내총생산(GDP)의 6%인 약 129조 원이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초과저축으로 소비를 늘린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소비도 부채상환도 하지 않은 채 고유동성 금융자산으로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추이를 지켜보다가 여차하면 투자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만큼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한국은행 조사국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쌓인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초과저축은 명목 GDP의 4.7~6.0%로 101조~129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민간소비 대비 9.7~12.4% 수준이다. 팬데믹 이전(2015~2019년) 평균 7.1%인 가계 저축률이 팬데믹 이후(2020~2022년) 평균 10.7%로 높아진 결과다.
한은 조사국이 초과저축 증가 요인을 소득과 소비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팬데믹 직후엔 소비감소, 지난해는 소득증가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이후엔 소득 증가 기여도가 축소됐다.
통상적으로 초과저축이 생기면 소비 재원으로 활용하거나 부채상환, 자산 취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미국도 팬데믹 이후 초과저축이 늘었으나 일부가 소비 재원으로 이용되면서 규모가 빠르게 줄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는 추가적인 소비 재원으로 활용되지 않았다. 지난해까지 고용 호조와 정부 지원 등으로 소득 여건이 양호했기 때문이다. 가계 처분가능소득 평균 증가율은 2017~2019년 3.6%에서 2020~2022년 4.6%로 팬데믹 이후 상승했다. 초과저축으로 부채를 상환하지도 않았다.
가계는 소비도 하지 않고 빚도 갚지 않은 채 초과저축을 예금이나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으로 보유 중이다. 가계 금융자산은 2020~2022년 중 1006조 원이 증가해 2017~2019년(519조 원) 대비 증가 폭이 크게 확대됐다. 이는 우리 가계가 실물과 금융상황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향후 추이를 관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 조사국은 초과저축이 고유동성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 중인 만큼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소비 충격 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동시에 금융시장에서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해 집값 상승과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