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사 ‘숨겨진 죽음’ 드러나나…교육부, 신고센터 운영 검토

교육부 관계자 "사교육 카르텔 신고센터처럼 운영할지 검토"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고시 및 자치조례 정비에 관해 발표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고시 및 자치조례 정비에 관해 발표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당국이 교권침해가 직접적 원인이 돼 극단선택을 한 교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여교사가 극단선택을 한 배경에 교권침해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사한 이유로 극단선택을 한 교사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4일 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와 유사한 사례를 접수 받아 점검할 계획이 있느냐는 본지 질문에 “교육활동 침해로 인해 커다란 상실을 느끼셨던 분에 대해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처럼 별도 신고기간을 운영할지 여부를 내부적으로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극단선택을 한 교사들 중에 교권침해로 고통 받았던 이들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실제 이날 서울시교육청과 교직 3단체(서울교원단체총연합회, 서울교사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가 교권 강화 방안과 관련해 서울시교육청에서 개최한 공동 긴급 기자회견에서 한 남성이 교사였던 자신의 딸이 교권 침해로 6개월 전 사망했다고 주장하며 피해 사례 조사를 전국으로 확대해줄 것을 호소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최근 발생한 학생의 교사폭행 사건들과 초임 교사가 스스로 생을 마감한 안타까운 일로 인해 무너진 교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며 “교육부는 교육활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