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으로 연일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대로라면 21세기 후반에는 여름철 실외에서 기온·상대습도·복사에너지 등에 따라 인간이 실제로 느끼는 ‘열 스트레스’가 최대 11배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기상청은 여름철 인체에 미치는 내·외적 열 인자의 총체적 합인 열 스트레스에 대한 미래 전망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열 스트레스 수치가 높을수록 온열질환 등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열 스트레스를 단계별로 나타낸 ‘열 스트레스 지수’가 30도 이상일 경우 온열질환자가 급격하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한국에서는 32.8도가 넘으면 ‘극한 열 스트레스’가 발생했다고 보는데 이런 날은 현재까지 매년 평균 7.6일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21세기 후반기에는 최대 94일 이상으로 11배 가까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극한 열 스트레스 발생일은 전체 지구 면적 중 10% 이상 지역에서 열 스트레스 지수가 상위 5%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날의 연중 일수를 뜻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한반도 전 권역에서 극한 열 스트레스 발생일은 7월부터 시작되지만 60년 후에는 6월 중순으로 당겨지고 종료 시기도 8월에서 9월 중하순으로 늦춰진다. 극한 열 스트레스 발생일이 최대로 지속되는 기간도 현재 3~4일에서 70~80일로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내륙과 해안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여름철 열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다.
한국의 열 스트레스 급증 현상은 동아시아 6개 권역 내에서도 크게 두드러지는 편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중국·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 지역의 여름철 평균 열 스트레스 지수는 현재 26.1도에서 2081~2100년쯤 3.1~7.5도 상승하는데 같은 기간 우리나라는 3.2~7.8도가량 뜨거워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동아시아 6개 권역 중 중국 북동부 지역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동아시아 지역의 극한 열 스트레스 발생일도 같은 기간 100일 넘게 폭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지역의 극한 스트레스 발생일은 현재 4.7일에 그쳤으나 21세기 후반에는 42.8∼103.8일로 최대 22배 증가하고 최대 지속 기간은 현재 2.4일에서 15.1∼68.2일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고온 현상이 더욱 자주 발생하고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야외 활동 및 온열질환과 관련된 미래의 열 스트레스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불볕더위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당분간 고온다습한 성질의 아열대 고기압 영향권에 머물러 높은 기온과 습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보했다. 폭염이 계속된다는 의미다.
실제로 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는 폭염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안팎으로 오르며 매우 무더운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낮 최고기온은 32∼36도로 예보됐다. 충청권과 전라권·경상권·제주 등 일부 내륙지역에 소나기가 내리면서 일시적으로 기온이 내릴 수는 있겠으나 이후 빠르게 기온이 오르면서 폭염특보가 유지되겠다. 열대야 현상 역시 도심과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불볕더위가 연일 계속되는 것은 제6호 태풍 ‘카눈’의 영향이 크다.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은 2일까지 태풍의 눈이 명확히 보일 정도로 강한 세력을 유지하면서 오키나와 해상 부근으로 서북서진하다가 3일 동중국 해상에서 특별한 지향점 없이 오랫동안 정체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 태풍에서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우리나라 쪽으로 들어오면서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지속·강화되는 것이다.
다만 이번 폭염은 지난해 비해 크게 두드러진 상황은 아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7월은 장마로 많은 비가 점철된 기간이었다. 장마 이후 시기적으로 강한 폭염이 나타나고 있지만 열에 의한 폭염 지속 일수나 평균기온 자체는 평년 7월과 비교해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앞으로의 날씨다. 8월이 기후학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더운 기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폭염 현상은 앞으로 더 심각해질 수 있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인명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온열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크니 수분과 염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야외 활동은 가급적 자제하는 등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