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올해 中 성장률 5% 안팎…부동산 부진 지속”

中, 생산·소비 등 경제 전분야 약화

재정·통화정책으로 적극 지원 추진

베이징 시내. 연합뉴스베이징 시내. 연합뉴스




우리나라 성장률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 중 하나인 중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으로 올해 중국의 연간 성장률이 5%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6일 한은 조사국은 ‘2023년 하반기 중국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보고서를 통해 “중국 경제는 적극적인 정책으로 하반기 소비·투자 등 내수 회복세가 점차 강화하면서 연간으로 5% 내외의 성장세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중국 경제는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이후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내수 회복이 더디고 수출도 둔화하는 흐름이다. 특히 2분기 리오프닝 효과가 생산·소비·투자 등 경제 모든 분야에서 빠르게 약화돼 경기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하반기 내수 확대, 고용 안정, 리스크 관리 등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선 상태다. 먼저 재정정책의 규모와 강도를 모두 확대할 전망이다. 지방교부금 등을 통해 친환경·스마트 가전 등 소비 촉진하고 고용 지원책도 예상된다. 통화정책 역시 지급준비율 인하를 포함한 완화적인 운용 방향이 예상된다.

한은은 중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0%로 시장 예상치(0.2%)보다 낮은 수준에 그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으나 그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낮은 물가가 국제유가 하락과 같은 공급 측 요인으로 제한된 품목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통상 디플레이션과 동반하는 실물경기의 극심한 침체와 금융시장 불안도 없다. 다만 저물가가 장기화한다면 경제 주체들의 기대 약화로 이어지면서 소비·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중국 경제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부동산 침체는 이른 시일 안에 회복되긴 어렵다고 봤다. 성숙 단계로 진입한 도시화, 미약한 경기 회복세, 부동산세 도입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위축 상태가 이어질 것이란 평가다. 이와 관련한 지방정부의 부채 리스크, 부동산 개발업체의 유동성 리스크도 위험 요인이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