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을 감상하는 일은 음악을 듣는 일과 비슷합니다. 좋은 음악은 훈련받지 않은 귀로도 단번에 알 수 있습니다. 건축도 취향의 차이가 일부 있을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좋다고 느껴야 좋은 건축입니다.”
이재성 지음재아키텍츠 대표는 최근 서울 용산구 서우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지음재의 철학은 공공성과 조형성, 보편성과 합리성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균형점을 잡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기능성(합리성) 위주로만 설계된 건물은 사람들에게 정서적 공감을 끌어낼 수 없고 조형성만 강조되면 건축을 배운 사람만 이해하는 ‘조형물’이 돼버리기 십상”이라며 “보편적인 사람도 영감과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건축을 할 때 입주민과 지역민들은 물론 건축주도 이루고자 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가 이같이 균형성을 강조하는 것은 건축물이 지닌 복합성 때문이다. 그는 “도시 내 대부분의 건물은 개인 소유라고 하더라도 그 지역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물리적·정서적 영향을 끼친다”며 “태생적으로 공공재적 성격을 띠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많은 건축주들이 간단히 법적 기준과 용적률 상한만을 채우면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이 보고 싶지 않거나 찾고 싶지 않은 건축은 결국 실패한다”며 “건축은 현실적인 용도를 지닌 사업인 만큼 설계 시 자재와 시공 디테일의 경제성이 반드시 고려돼야 한다. 동시에 건축이 주변과 조화롭게 어우러져야 사람들이 해당 건물을 찾고 건축주도 최적의 수익을 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도 한층 발전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철학은 이 대표가 건축에 발을 들이게 된 과정과 무관하지 않다. 서울예고와 홍익대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이 대표는 유럽 여행 중 로마에서 마주한 성베드로성당을 보며 건축이 지닌 사회적 영향력에 주목하게 됐다고 한다. 대학 졸업 이후 그는 미국으로 건너가 텍사스 오스틴대에서 건축학 석사를 받은 뒤 일본 복합 문화 공간인 롯폰기힐스모리타워 등을 설계한 미국 저디파트너십에서 마포구 메세나폴리스, 구로구 디큐브시티, 광진구 스타시티 등 국내 굵직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실무를 익혔다. 이 대표는 “대학 시절 메세나폴리스 부지는 몇몇 출판사가 있을 뿐 개발되지 않아 찾아갈 이유가 없던 동네였다”며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메세나폴리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서교동에 사람이 모이고 주변 상권이 활기를 찾아가는 모습을 느껴볼 수 있었던 점이 가장 큰 경험이었던 것 같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 대표는 “앞으로도 지음재는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삶을 편하고 행복하게 하고, 건축물로서 기능을 다하는 건축을 추구할 것”이라며 “기회가 된다면 보다 많은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프로젝트 혹은 가상현실인 메타버스 속 공간 설계 등을 해보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