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2분기에 2조 원대의 영업 손실을 냈다. 한전은 11일 연결 기준 2분기 영업 손실이 2조 272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2021년 2분기 이후 9개 분기 연속 영업 손실로 누적 적자는 47조 5000억 원으로 불어났다. 전기 요금이 오르고 국제 에너지 가격도 하향 안정세를 보였지만 1분기(6조 1776억 원 적자)에 비해 적자 규모를 줄였을 뿐 흑자 전환에는 실패했다. 일각에서는 연료비와 구입 전력비 부담이 줄면서 3분기 흑자를 이룰 것으로 예상하지만 수익 구조 불안정으로 4분기에 다시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우크라이나 전쟁 확전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상승세를 보여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전의 적자 행진은 문재인 정부가 무리한 탈원전 정책을 강행하고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에도 선거를 의식해 전기 요금 인상을 외면한 탓이 크다. 신규 채용을 늘리고 성과급 잔치를 벌이며 방만 경영에 나섰던 한전의 책임도 따져봐야 한다. 한전은 5월 경영 정상화를 위해 부동산 매각, 임금 반납 등 25조 원 규모의 재무 구조 개선 자구책을 내놓았지만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년 전 직원의 땅 투기 사태 때 “해체 수준의 혁신을 하겠다”고 약속하고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 차기 한전 사장이 선임되는 대로 더 강도 높은 자구책을 내놓고 강력한 실천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한전은 호남 표를 얻으려는 문 정부의 공약에 따라 설립돼 부실해진 한전공대의 통폐합도 추진해야 한다. 에너지 요금을 현실화하는 작업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당초 정부는 한전 경영 정상화를 위해 올해 ㎾h당 51.6원의 인상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1·2분기를 합한 요금 인상 폭은 21.1원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1인당 전력 소비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약 40% 더 많다. 에너지 절약과 효율성 제고를 통해 다소비·저효율의 에너지 소비 구조를 근본적으로 수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