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재난상황실 중심의 현재 재난대응 시스템에 도로, 하천, 건설현장 등 8개 분야별 자체 상황실 운영을 추가해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
경기도는 17일 이 같은 담은 ‘풍수해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여름철 풍수해 종합대책 11개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6월 26일부터 7월 26일까지 도내 강수량은 650.2mm로, 평년 강수량인 412.7mm와 비교했을 때 약 157%나 많았다. 강수일수 대비 강수량도 31.7mm로, 역대 최장의 장마였던 2020년 26.2mm보다 많았다.
도의 선제적인 초기 대응과 시·군과의 유기적인 협력이 맞물리면서 큰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상기후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단순히 기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만든 현재의 재난 대응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는 근본적인 재난 대응 방식 변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도는 재난상황 관리체계를 즉시 개편하기로 했다.
그동안 시설별 사전점검은 소관부서에서 수행하고, 비상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재난상황실에서 대처했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재난 상황에는 신속한 현황 파악이 어려워 적시 통제와 대처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도는 도로, 하천, 건설현장 등 8개 분야 별로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실시간 재난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관련 부서 자체상황실을 실무반으로 편성·운영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체계도 강화했다. 11개 시·군 이상에 호우주의보가 내리거나 4~15개 시군에 호우경보가 내렸을 때 가동하는 비상 1단계 기준을 7개 시군 호우주의보 또는 3~6개 시군 호우경보 등으로 변경하는 등 전체적인 비상근무기준을 변경했다.
도는 재난 시 현장에서 실질적 역할을 하는 시·군 재난안전대책본부의 비상단계별 기준 및 인력 상황을 점검·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지역 편차 없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적정 기준안을 마련한다.
통제·대피 등 현장대응 강화를 위해 비상1단계부터 경찰청 인력을 지원받아 재난안전대책본부에 편성했다. 도-지방경찰청, 시·군-관할 경찰서·파출소 등의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합동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등 경찰 협력체계를 강화한다.
도는 집중호우 시 사고 우려가 있는 곳을 지정·관리하는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대해서는 특별조직(TF)을 구성하고 시·군에서 통일되고 구체적 기준으로 해당 지역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예졍이다.
이밖에 기존 중앙정부의 국비 지원 사업 중심 재난예방사업에서 탈피해 도 자체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재난예방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조기경보시스템 신규 구축, 재난 CCTV 확충 등이 핵심이다.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지속되는 기후 이상으로 앞으로 발생할 집중호우·태풍을 과거 기준으로 대응하기에는 문제가 있다”며 “비록 천재지변일지라도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상황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적극 대응한다면 도민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일상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