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북스&] 행운과 불운 뇌가 결정한다

■기회의 심리학(바버라 블래츨리 지음, 안타레스 펴냄)

"운이란 무작위로 반복되는 패턴"

심리적·뇌과학적 연구결과 분석

훈련 하면 누구에게나 좋은기회

'운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전두엽의 실행기능서 장애 겪어

'운이 좋은' 사람은 관찰력 뛰어나

더 많은 기회·더 빠른 행동 실행





살면서 부딪치는 일들의 원인을 ‘운’으로 돌릴 때가 종종 있다. “운이 좋았다”거나 또는 “운이 나빴다”거나. 생각했던 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았을 때, 생각지 못했던 변수들이 발생했을 때 운을 찾는다. 개인이 통제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이유를 운으로 돌리기 위해서다. 이같은 통념과 달리 운 역시 논리적·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주장이 있다. 훈련만 하면 누구나 기회를 잡아 좋은 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간 ‘기회의 심리학’은 심리학, 뇌과학을 이용해 이같이 운을 설명하는 책이다. 저자인 바버라 블래츨리는 인디애나대학교 심리학부를 졸업, 사우스캘로라이나대학교 신경과학 박사학위를 받은 심리학자다.



저자는 운을 무작위라고 정의 내린다. 카지노 룰렛게임에서 연속으로 검은 구슬이 떨어졌어도 다음 구슬이 붉은색이 될지, 검은색이 될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좋은 일이 연달아 일어났다고 해서 다음에 일어나는 일은 반드시 나쁜 일인 것도 아니다. 그러나 사람의 뇌는 이 무작위에서 일종의 패턴을 만들고 이유를 찾아 각종 미신, 주술, 부적 등의 이름을 붙인다.

관련기사



물론 주술적 사고가 모두 나쁜 것만은 아니다.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을 행운의 부적, 주술 등을 통해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해 신체적,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 선수들이 중요한 경기를 앞둘 때마다 미신적 행동을 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선수들이 각자의 징크스에 근거해 미리 행동함으로써 경기 시작 전 불안과 긴장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책에는 운을 둘러싼 다양한 심리적, 뇌과학적 연구 결과를 인용한다. 스스로 운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운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간에 뇌에서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스스로 운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뇌에서는 실행기능 부분에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실행기능이란 전두엽이 관장하는 인지능력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검토하고 성취하려는 목표에 주의를 기울이는 뇌 기능을 의미한다. 반면 스스로 운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실행 기능에 장애를 겪고 있다. 운에 대한 인식이 뇌의 기능과 연결돼 있고 추후 좋은 결과 혹은 나쁜 결과를 더 많이 가져오게 하는 순환고리를 형성하는 셈이다.

저자는 운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서 나아가 운이 좋은 사람들은 운이 나쁜 사람들보다 사물에 주의를 더 기울이는 성향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의미 없어 보이는 것에도 기회를 더 빨리, 많이 포착해서 행동한다는 것이다. 이를 ‘기회 감지기’라고 불렀다. 기회 감지기가 활발히 활동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운이 없다는 생각부터 없애야 한다. ‘나는 왜 이렇게 불운할까’하는 생각이 어차피 해도 안된다는 사고로 이어져 행동하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다.

책을 읽다 보면 운은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행동으로 나서는 사람들에게 온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무엇이 운이고, 불운인지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금 당장은 행운을 가져다주는 일로 보여도 나중에는 불행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저자는 “행운에 목숨을 걸고 행운을 잡고자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기보다, 기회가 왔을 때 담담하게 그리고 당연하게 행운을 잡을 수 있는 사람, ‘운이 좋아도 될 만한’ 사람이 되자”고 말한다. 2만 원.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