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상대 신임 한은 부총재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조절 기대”

21일 신임 부총재로 공식 취임

주금공 부사장에서 복귀해 역할

“원화 여전히 변동성 높은 통화”





유상대(사진) 신임 한국은행 부총재가 21일 “특례보금자리론은 당초 계획했던 금액에 근접했기 때문에 조절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부총재는 2021년 7월 한은 부총재보에서 주택금융을 공급했던 주택금융공사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이날 다시 부총재로 복귀했다.



이날 유 부총재는 취임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근 특례보금자리론이 가계부채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과 관련해 “최근 주택경기가 바닥을 친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필요한 조치를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례보금자리론 금액이 한도나 목표치는 아니지만 조절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지난해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취약계층이 고정금리로 대출을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심전환대출을 시작했는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워낙 오르다 보니 6억 원 기준에 대해 너무한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며 “해당 가격을 올리면서 주금공의 보금자리론도 함께 묶어서 특례보금자리론을 만들었다”며 최근 관련 대출 증가 배경을 설명했다.

유 부총재는 원화가 여전히 변동성이 높은 통화라고도 언급했다. 그는 한은에서 국제국장, 국제협력국장 등을 거치면서 대표적인 국제금융과 국제협력 전문가로 꼽힌다. 유 부총재는 “한은에 있다보면 우리 경제가 얼마나 대외의존도가 높은지 알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경제적 요인이 아닌 팬데믹이나 전쟁 등 외부 요인으로 외환시장에 대한 걱정이 필요 이상을 반영될 때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원화는 변동성이 높은 통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나친 변동성 확대가 조금씩 줄어들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유 부총재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이 통제된 경제이지만 부동산 문제 때문에 일본처럼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하반기에 관광객도 들어오는 만큼 중국 경제가 우리 성장이나 물가에 미치는 상하방 리스크가 모두 있다”고 말했다.

유 부총재는 “부총재도 금통위원이기 때문에 통화정책을 잘 팔로업(follow-up) 하겠다”라며 “달라진 환경에 맞춰 한은 업무 변화도 잘 정착되고 시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