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정여울의 언어정담]교사에게도 교사가 필요하다

민원 압박에 동료애 싹트기 어려워

고민 나눌 멘토·소모임 지원 통해

마음껏 뜻 펼칠 교실 되돌려줘야






학창시절, 성적이 오르는 것보다 더 기쁜 일은 선생님의 칭찬을 듣는 것이었다. 꼭 공부에 대한 칭찬이 아니더라도, 심지어 ‘여울이는 청소를 잘한다’는 사소한 칭찬까지도 좋았다. 담임선생님이 좋으면 모든 과목의 성적이 올랐다. 감동적인 수업을 들으면 배움을 향한 무한한 동경이 싹텄다. 중고등학교 국어수업이 없었다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 것이다. 국어수업에서 나는 문학에 대한 사랑, 읽기와 쓰기 실력은 물론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과 통합적인 문해력까지 다 배웠다. 그 힘으로 지금도 20년째 작가생활을 하고 있다. 이 모두가 공교육의 힘이다.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사건 이후 교권추락에 대한 절망적인 담론이 넘쳐나는 지금도, 세상에서 가장 고귀한 직업은 교사라고 생각한다. 공교육이 없다면 오늘의 나는 없을 것이고, 험난한 세상을 헤쳐가는 법도 훌륭한 선생님들을 통해 배운 것이다.

관련기사



공교육은 시스템만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선생님 한 분 한 분의 열정과 헌신, 학생에 대한 사랑과 책임, 학생들의 노력과 학부모의 협조가 있어야만 공교육은 힘을 발휘한다. 그런데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하고 홀로 고통받다 죽어간 서이초 교사를 추모하며 떠오른, 또 하나의 결정적인 공교육 구성요건이 있다. 바로 교사에게도 교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교사생활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선배로서 후배를 이끌어주고, 교사로서의 노하우를 가르쳐줄 교사들의 교사가 절실한 시대다. 저마다 자신의 문제로 고통받는 교사들에겐 동료교사를 도울 마음의 여유조차 없어진다. 꽃다운 25살 나이에 죽음을 선택한 초임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고민을 함께 나눌 멘토, 무조건 당신 편이라고 응원해줄 선생님들이었다. 교사들이 학부모의 민원에 시달리는 환경에서는 이런 동료애가 싹트기 어렵다. 교사들을 위한 멘토링수업을 적극 지원하고, 교사들을 전적으로 응원하고 지지해주는 상담 및 소모임을 향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아이들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해요. 학부모들이 문제지요. 학부모 민원만 없어져도 교사는 여전히 보람있는 직업이에요.” 주변 교사들로부터 들어온 이야기다. 교사는 서비스직종이 아니다. 학교는 기업이 아니다. 특히 공교육은 결코 상품이 돼서는 안 된다. 아이들이 책임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게 도와줄 의무가 우리 어른들에게 있다. 학부모들은 ‘내 아이의 소중함’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교사가 바로 서야 교육이 바로 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교사가 마음껏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응원해줘야 교실이 살아나고, 교육이 힘을 발휘한다. 교사인 내 친구가 아이들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신학기 소원은 이것이라고 한다. “많이 예뻐해 주세요.”

예나 지금이나 아이들은 교사가 자신을 예뻐해 주고 칭찬해주고 응원해주길 바란다. 학부모들은 교사들이 행복한 교실, 교사들이 마음 놓고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는 교실을 되돌려줘야 한다. “세상 모든 선생님들이여, 당신의 영향력은 학생의 평생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결코 두려워말고, 결코 기죽지 말고, 당신이 지닌 가장 아름다운 빛을 아이들에게 나눠주세요.”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