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돈·주식 수십 가지 요구 노조, 특권 의식 버리고 상생 방안 찾아라


두 자릿수 임금 인상과 주식 지급, 정년 연장 등 수십 가지를 요구하고 있는 포스코 노조가 최근 교섭 결렬을 선언해 파업에 돌입할 태세다. 노조 요구안은 기본급 13.1% 인상을 비롯해 자사주 100주 지급, 생산성 격려금 200% 신설 등 임금 관련 23건과 조합 활동 관련 63건 등 총 86건에 달한다. 포스코는 노조 요구안을 모두 수용할 경우 1인당 9500만 원의 임금 인상 효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사측은 연간 인건비 부담이 1조 6000억 원 늘어나는 만큼 추가 협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런데도 노조는 끝내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 신청을 검토중이다. 노사가 열흘 이내에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노조는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을 강행할 수 있다.



평균 연봉 1억 800만 원을 받는 포스코 노조의 요구안은 과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노조가 이번에 제시한 요구 건수(86건)는 2021년(27건)과 지난해(5건)에 비해 지나치게 많다. 지난 10년(2013~2022년) 동안 임금 인상률이 자동 인상분을 포함해 연 4.5%인 점을 감안하면 요구하는 임금 인상 폭도 너무 크다. 포스코홀딩스 주식 100주(주당 58만 원)까지 지급되면 1인당 5800만 원의 임금 인상 효과를 낳는다. 자사주까지 지급할 경우 포스코 직원 평균 연봉은 1억 6000만 원을 넘게 된다.

관련기사



포스코 노조는 사측의 교섭 재개 요청에도 불구하고 미온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조가 중노위의 ‘조정 중지’ 결정 이후 파업을 강행하면 포스코는 물론 자동차·조선 등 주요 제조업 전반에 도미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포스코가 이를 막기 위해 노조의 요구안을 대부분 수용하면 철강 제품 가격 인상과 자동차·조선 산업 등의 원재료비 상승, 국내 제조업 전반의 국제 경쟁력 하락 등의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크다. 더욱이 포스코의 급격한 임금 인상은 협력 업체와의 임금 격차를 확대해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고착화할 수 있다. 포스코 노조는 특권 의식을 버리고 회사의 경쟁력을 살려 일자리를 지키는 방향으로 노사 상생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때 세계 철강 업계를 주도했던 영국의 브리티시스틸이 무분별한 파업으로 경쟁력을 잃고 소규모 철강사로 전락한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