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정은, 딸 주애와 민방위무력 열병식 참석… 중국 대표단 접견

연설은 없어… 러시아는 군 협주단만 파견

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참석한 가운데 정권수립(9·9절)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참석한 가운데 정권수립(9·9절)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 정권 수립 75주년(9·9절)을 맞아 진행한 열병식에서 노농적위군이 전면에 나서 눈길을 끌었다. 노농적위군은 남한의 민방위 형태로 정규군과는 거리가 멀어 기존 열병식과는 다른 모습이 연출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 주애도 열병식에 참석했다. 김 위워장은 연설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열병식 사진 등을 보면 '룡악산샘물' 등 경공업 공장 소속으로 보이는 트럭 컨테이너에 방사포가 장착된 모습이 포착됐다. 트럭 전면에는 '자력갱생'이나 '건설혁명'과 같은 구호를 부착했다. 농기계인 트랙터가 무기를 끌거나, 트레일러에 노농적위군 병사들이 대열을 맞춰 도열해 있는 모습도 보였다.

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참석한 가운데 정권수립(9·9절)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참석한 가운데 정권수립(9·9절)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참석한 가운데 정권수립(9·9절)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가 참석한 가운데 정권수립(9·9절)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통신은 특히 기계화 종대와 관련해 '신속한 기동력을 갖춘 모터사이클 종대', '트랙터들이 견인하는 반탱크미사일종대', '일터의 상공 마다에 철벽의 진을 친 고사포종대', '전투능력을 과시하는 위장방사포병종대'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행성의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전민무장화, 전민방위체계의 거대한 생활력과 위력한 실체", "정규군과 함께 현대전의 그 어떤 군사작전과 전투도 자립적으로 치를수 있는 민방위무력"과 같은 과장된 표현들로 찬사를 보냈다.

관련기사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딸 주애와 '주석단 특별석'에 나란히 앉았다. 통신은 김덕훈 내각 총리와 리병철 노동당 비서, 박정천 당 군정지도부장 등이 김 위원장과 '존경하는 자제분(주애를 지칭)'을 모시고 주석단 특별석에 자리했다고 전했다. 주목을 받은 김 위원장 연설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았다. 북한은 올해 들어 건군절(2월 8일)과 이른바 전승절(6·25전쟁 정전협정기념일·7월 27일)에도 열병식을 진행했는데, 아직 김 위원장이 연설을 한 사례는 없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한 전략무기가 등장했다는 보도도 없었다.

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정권수립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을 녹화중계 했다. 열병식 주석단에 나란히 앉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딸 주애와 대화를 하고있다. /연합뉴스지난 8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정권수립 75주년 민방위무력 열병식을 녹화중계 했다. 열병식 주석단에 나란히 앉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딸 주애와 대화를 하고있다. /연합뉴스


통신은 김 위원장이 중국 대표단을 만나 "따뜻하고 친선적인 분위기 속에서 담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중국 동지들이 공화국 창건기념행사에 참가해 국경절 행사가 빛나게 됐다"며 "습근평(시진핑) 동지와 중국 당과 정부가 조중(북중)관계의 특수성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깊이 느꼈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경우 군 협주단과 북한 주재 러시아 외교대표들의 참석만 언급돼, 별도의 대표단을 보내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러가 정상외교를 앞두고 있기 때문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10~1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EEF)을 계기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세종=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