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하이투자증권, 국내 주식 CFD 서비스 신규 도입





하이투자증권은 국내 주식 차액결제거래(CFD)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CFD는 투자자가 주식의 실제 보유 없이 가격 변동분에 대한 차액만 정산하도록 하는 장외파생상품으로 전문투자자만 거래할 수 있다. 투자자는 종목별로 산정된 증거금을 기준으로 레버리지(차입) 투자를 할 수 있고, 주가가 하락할 경우 매도 포지션 구축으로 수익 창출과 헤지(위험 회피)가 가능하다.



하이투자증권은 국내 상장 주식 중 신용거래가 가능한 종목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향후 순차적으로 미국주식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별도 만기가 없어 투자자가 원하는 기간까지 보유할 수 있으며 매매 차익은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11%만 적용돼 절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하이투자증권의 서비스 신규 도입으로 CFD 거래가 가능한 국내 증권사는 기존 13곳에서 14곳으로 늘어났다. CFD 신규 진입 사업자가 등장한건 지난해 2월 SK증권과 KB증권 이후 약 1년 7개월만이다.

앞서 CFD는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무더기 주가 폭락 사태의 진원지로 지목되면서 증권사들의 관련 서비스가 일제히 중단된 바 있다. 이후 이달 1일 교보증권과 메리츠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4곳이 CFD 서비스를 재개했다.

하이투자증권은 일찍이 서비스 도입을 준비해왔지만, 무더기 하한가 사태의 영향으로 실제 제공 시기가 늦춰졌다고 설명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CFD 잔고 금액(국내 및 해외 주식 합산)은 약 1조 2740억 원으로, 지난달 말(1조 2725억 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투자자 보호 장치 강화로 업계 서비스가 재개된 CFD는 투자자들이 다양한 방면으로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투자수단 중 하나”며 “철저한 규제 준수와 투자자 보호 강화 속에 CFD 서비스가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상품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