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美 중심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도… IDC “中 점유율 늘고 대만은 줄 것”

5년 후 글로벌 파운드리 점유율

중국 2%P↑, 대만 3%P↓ 전망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이 점하는 비중이 지정학적 긴장관계가 지속되고 미국 등 주요국의 정책적 견제에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반대로 대만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주문생산) 업체 TSMC 등을 보유했지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이번 주 발간한 보고서에서 “지정학적 변화가 반도체 게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6일 보도했다. 헬렌 장 IDC 아태 반도체 연구책임자 겸 대만 지역 담당자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협력에서 다지역 간 경쟁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IDC는 중국의 파운드리 점유율이 올해 27%에서 2027년 29%로, 반도체 외주 패키징(OSAT) 점유율은 작년 22.1%에서 2027년 22.4%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대만의 경우 파운드리는 올해 46%에서 2027년에는 43%, OSAT는 작년 51%에서 2027년 47%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SCMP는 IDC 분석에 대해 “미국 주도로 첨단기술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노력이 진행되는 와중에 중국의 자급자족이 진전을 이뤘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첨단 반도체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중국 내수 수요와 국가 정책으로 빠르게 발전 중이라는 설명이다.

장 책임자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작년 8월 시행된 미국 반도체법을 비롯해 주요국의 정책적 변화에 따라 파운드리·조립·시험 공정의 글로벌 배치를 점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차이나 플러스 원’ 혹은 ‘타이완 플러스 원’ 생산 계획을 수립하게 됐다는 얘기다.

한편 IDC는 미국이 반도체법으로 2027년까지 7㎚ 이하 첨단 공정의 점유율을 11%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파운드리 분야에서 TSMC, 삼성전자, 인텔이 미국에서 첨단 제조 공정을 주도하고 있으며, 반도체 생산 지형에도 점진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봤다.

현재 대만은 세계 반도체의 60% 이상, 첨단 반도체의 9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은 글로벌 반도체 생산 점유율이 약 12%에 불과한데, 반도체법을 통해 점유율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