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년째 그냥 집에서 쉬고 있어요”…일할 의지 없는 ‘니트족’ 상황은?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꼴

코로나19 확산 이전 때보다 늘어

영화 '김씨표류기'의 한 장면으로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 출처 =시네마서비스영화 '김씨표류기'의 한 장면으로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 출처 =시네마서비스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집에서 시간을 보낸 '니트족'이 8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보다 비중이 높았다.

‘니트(NEET)족’이란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의 줄임말이다. 취업에 대한 의욕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일할 의지는 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자나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프리터족과 다르다.

22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1만 8천 명이었다.

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청년은 8만 명으로 36.7%를 차지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은 직업 훈련이나 취업 시험 준비, 구직활동, 육아나 가사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니트족 비중은 3년 이상일 때가 가장 높았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사진 출처 = 연합뉴스


니트족 비율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3.9%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7.3%로 상승했다.

다시 1년 이상∼2년 미만 19.2%, 2년 이상∼3년 미만 21.1%로 줄어든 뒤 3년 이상일 때 36.7%로 대폭 높아졌다.

학교를 졸업한 이후 3년이 지나면 취업을 포기하는 비율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취업을 위한 활동 비중을 보면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53.0%, 1∼2년 미만일 때 58.2% 등으로 50%대를 기록하다가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 36.5%로 뚝 떨어졌다.

남윤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