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통합위 '청년 1인가구 정책' 만든다

■특위 출범 첫 공식회의

주거개선·재취업·창업지원 등

'청년 맞춤정책' 내년 1월 공개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청년 1인 가구 대응 특위 출범식에서 참석자와 인사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청년 1인 가구 대응 특위 출범식에서 참석자와 인사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200만 명을 넘어선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정책 대안을 내년 1월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국민통합위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청년 1인 가구 대응’ 특별위원회를 출범하고 첫 공식 회의를 가졌다. 위원장은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를 위촉했고 학계·연구기관·현장 등 14명의 전문가가 특위 위원으로 활동한다.

관련기사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심화되면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가족 구조 변화로 1인 가구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특히, 만 19~34에 해당하는 청년 1인 가구는 2017년 148만 가구, 2019년 167만 가구, 2021년 207만 가구로 급속도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체 1인 가구의 약 30% 규모다. 청년 1인 가구의 증가는 학업·취업 등 사유는 물론 삼포 세대(연애·결혼·출산 포기), N포 세대(취업, 주거, 사회적 관계 등 포기) 등의 용어에서 보여주듯 청년 세대의 어려운 상황과 연관된다.

국민통합위는 청년 1인 가구가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내년 1월까지 정책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앞서 특위는 △안전한 생활환경 △안정적 경제 기반 △사회적 관계 강화 △촘촘한 사회안전망 등 4가지 핵심 방향을 설정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주거 생활환경 조성, 청년 1인 가구 서비스 통합 플랫폼 구축 등 서비스를 발굴하는 한편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과 창업 실패, 경력 단절 청년들에게 두 번째 도약 기회 지원 등 경제적 안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립·단절 청년의 발굴과 지원 및 지역사회 기반 사회연대 강화 등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 방안도 논의된다. 아울러 다인 가구 중심의 법·제도 개선 등 사각지대 해소, 청년 1인 가구의 건강·의료 지원 등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정책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김석호 특위 위원장은 “청년 1인 가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가구 형태로 이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힘들게 사는 청년들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를 파악해 공공과 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특위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특위에서 청년 1인 가구들의 진지한 목소리를 경청하고 활발한 논의의 장도 마련해 현실적이고 내실 있는 정책을 발굴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