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한국인 1만명 당 1명 ‘경계성 인격장애’ 앓아…"약물남용 등 위험성 높아"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국내 인구 1만 명당 1명은 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로 진단받아 치료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연령대별로는 20대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2일 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해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경계성 인격장애란 정서적 불안, 자아정체성 문제, 대인관계 등을 포함해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복합 인격장애다.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으로 나타난다. 대체로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여 도벽과 도박, 약물 남용의 위험성이 높고 대인관계도 불안정하다. 환자의 약 60∼80%는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것으로도 보고된다.

이 연구는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국내 경계선 인격장애 유병률을 다룬 첫 연구다. 이전까지 경계성 인격장애의 국내 발병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었다.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 추이. 강남세브란스병원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 추이.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 결과 국내에서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된 환자 수는 2010년 3756명에서 2019년 4538명으로 1.2배 증가했다.

관련기사



이 기간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은 인구 1만 명당 2010년 0.96명에서 2019년 1.06명으로 증가했다.

남성 유병률은 2010년 0.81명에서 2019년 0.80명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같은 기간 여성 유병률은 1.12명에서 1.32명으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대의 유병률이 제일 높았다. 2010년 2.41명, 2019년에는 3.42명으로 증가했다.

2019년 기준으로 인구 1만 명당 유병률은 30대 1.39명, 40대 0.70명, 50대 0.38명, 60대 0.28명, 70대 이상 0.24명으로 나이가 많아지면서 점차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유병률이 1만 명당 8.71명으로 가장 높았고, 대전(6.62명)과 대구(5.90명)이 그 뒤를 이었다.

석 교수는 "다른 국가의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 2.7∼5.9%에 비해 국내 유병률이 크게 낮은 것으로 보인다"며 "여러 증상이 나타나 진단이 까다로운 질병의 특성과 정신과 방문을 꺼리는 이유 등으로 인해 실제보다 과소평가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에 발표됐다.


안유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