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투용 쇄빙선 배치"…러, 북극해 항로 통제 강화 나서

러시아 쇄빙선. 사진=타스 연합뉴스러시아 쇄빙선. 사진=타스 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이즈베스티야에 따르면 러시아가 새 물류 통로이자 군사 전략 지역인 북극해 항로(NSR)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는 전투용 쇄빙선을 배치해 해군 대잠함 임무를 지원할 방침이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북극해 항로 수역에서 해군 함정들이 연중 주둔해 작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북방함대 소속 대잠수함 14여단에 전투용 쇄빙선 '이반 파파닌'을 배치할 계획이다.

북방함대는 최근 수년 동안 정기적으로 북극을 순찰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대잠수함 14여단은 세베로모르스크, 아드미랄 차바녠코 등 대형 대잠함 4척을 보유하고 있다.

이반 파파닌 쇄빙 순찰함은 북극 해역에서 함정 호위 등 임무를 수행하는 데 적합하게 설계됐다.

함정에는 AK-176MA 함포가 장착돼 있으며, 칼리브르 순항 미사일도 탑재 가능하다.



이반 파파닌의 최대 속도는 18노트(시속 33.3㎞)로, 최대 1.7m 두께의 해빙을 깨고 나갈 수 있다. 작전 범위는 1만9000㎞다.

관련기사



북극해 항로에는 매년 늦가을부터 두꺼운 해빙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중 내내 선박을 운항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북방함대는 전투용 쇄빙선 배치에 따라 악조건 속에서도 북극해 항로 수역에서의 적 잠수함 탐지 등 활동 기간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구 온난화로 해빙이 녹아 새 항해 경로가 열린 가운데 해저에 많은 양의 각종 자원이 매립된 북극은 국제사회의 새로운 전략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러시아가 개발에 공을 들이는 북극해 항로는 서부 북극권 카르스키예 해협에서 극동 추코트카 자치구의 프로비데니야만까지 약 5600㎞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후 아시아로의 원자재 등 수출 확대를 위해 극동으로 향하는 북극해 항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곳 개발을 위해 향후 10여 년 동안 1조8000억 루블(약 26조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또한 북극해 항로 통제 강화를 위해 러시아는 북극에 인프라를 구축하고, 군병력이나 해안 방어 미사일 시스템을 배치하는 작업 등도 이어오고 있다.

안유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