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민관 협력으로 '화재 통신 장애' 1시간 만에 복구

전기차 충전시설 화재로 통신장애 가정

정부·통신4사 일괄 대응으로 위기 수습

SK텔레콤 직원들이 2일 대전 서구 둔산사옥에서 진행된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 참가해 단선된 광케이블을 찾아 복구하고 있다. 사진 제공=SK텔레콤SK텔레콤 직원들이 2일 대전 서구 둔산사옥에서 진행된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 참가해 단선된 광케이블을 찾아 복구하고 있다. 사진 제공=SK텔레콤




“건물에 있는 전 직원은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해주시기 바랍니다.”



2일 오후 2시 대전 서구에 위치한 SK텔레콤 둔산사옥에서는 요란한 사이렌 소리와 함께 안내 방송이 흘러 나왔다. 방송을 들은 직원들은 뿌연 연기가 가득한 건물 밖으로 분주하게 뛰쳐나왔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경찰 관계자들은 재빨리 화재 진압에 나섰고 SK텔레콤을 비롯한 통신사 직원들은 서비스 복구에 집중했다. 이후 1시간 정도 흘렀을 무렵 화재 진화·수습이 마무리됐다.

관련기사



SK텔레콤과 KT·LG유플러스·SK브로드밴드 등 통신4사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는 이날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SK텔레콤 대전 둔산사옥 주차장에서 화재 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주차장의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해 인근 지역 통신망에 장애가 나타나는 상황을 가정했다. 특히 변전시설의 피해로 SK C&C의 대덕데이터센터에 정전이 발생한다는 시나리오도 함께 적용했다.

훈련에서는 피해 발생부터 복구 상황까지 정부 당국자들을 비롯해 통신사들이 일사천리로 움직였다. 과기정통부는 정부세종청사에 재난안전상황실을 개설해 일선 현장과 지속적인 소통에 나섰고 그 과정은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특히 복구 과정에서 통신사들의 대응이 기민했다. 재빨리 이동기지국을 설치했고 누구나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재난 와이파이’를 개방했다. 소상공인에게는 스마트폰 테더링을 통한 카드 결제서비스를 추가로 제공됐다. 감시시스템(CESS)를 통해 찾은 광케이블 단선 지점에서는 긴급복구반을 투입해 상황 수습에 총력을 기울였다.

아울러 SK텔레콤은 통신케이블 단선 사고를 대비해 드론을 활용하는 기술도 선보였다.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벌어지거나 지반침하 등으로 인력과 장비 진입이 어려운 지역에서 드론이 통신케이블 인계선을 전달해 복구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통신 서비스 장애지역의 복구 시간을 대폭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전기차로 인한 실내 화재는 대규모 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디지털 인프라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훈련을 실전처럼 진행하고 예방 점검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