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빈대 관리 및 방제 방안 홍보 나서

빈대 예방·대응 정보집, 시 누리집 게재

각 구·군 보건소 통해 소관 시설에 안내

대구의 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방역업체 관계자들이 빈대(베드버그) 박멸을 위해 방역 소독을 하고 있다. 이 학교 기숙사에서는 한 학생이 빈대에게 물렸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연합뉴스대구의 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방역업체 관계자들이 빈대(베드버그) 박멸을 위해 방역 소독을 하고 있다. 이 학교 기숙사에서는 한 학생이 빈대에게 물렸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연합뉴스




부산시는 최근 전국적으로 공동·숙박시설에서 빈대가 출현해 피해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빈대 관리 및 방제 방안을 안내·홍보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빈대는 감염병을 매개하지 않기에 관리 대상 해충은 아니지만 인체 흡혈로 수면을 방해하고 가려움증과 이차적 피부감염 등을 유발한다.



집이나 공동·숙박시설에 빈대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침대 매트리스, 소파, 가구, 벽 틈 등을 살펴봐야 하며 저녁보다 새벽 3~4시에 자주 발견할 수 있다.

관련기사



빈대에 물렸다면 우선 물과 비누로 씻고 증상에 따른 치료법 및 의약품 처방을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빈대가 발견되면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스팀 고열·진공청소기 등을 활용한 물리적 방제와 살충제 등의 화학적 방제를 병행해야 처리에 효과적이다.

빈대에 오염된 매트리스, 가구 등은 방제 후 재사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시는 빈대 예방·대응 정보집을 시 누리집에 게재해 상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각 구·군 보건소를 통해 소관 시설에 이 정보집을 배포했다.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은 “국내외 여행 중 빈대에 노출된 경험이 있다면 여행용품을 철저히 소독하고 공동·숙박시설에서 빈대 흔적 등을 확인해 빈대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