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경부 "국가산단 용수 안정적 공급…가뭄 대비 대체수자원 개발"

'물 공급대책' 연내 발표

작년 가뭄 156일로 '역대 2위'

하수 재활용 등 사업 확대 전망

정부세종청사에 위치한 환경부 집무동. 연합뉴스정부세종청사에 위치한 환경부 집무동. 연합뉴스




한화진 환경부 장관한화진 환경부 장관


환경부가 반도체산업단지 산업용수 공급과 가뭄 시 물 공급을 위한 대체 수자원 개발 등의 내용을 담은 ‘물 공급 대책’을 연내 발표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가뭄이 증가하고 신규 산업단지 등에 따른 물 수요가 늘어나면서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6일 서울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환경부는 연말까지 산업용수와 생활용수 전반을 포괄하는 물 공급 대책을 공개할 예정이다. 한강·낙동강·금강 등 전 유역에 대한 대책과 하수 재이용, 해수 담수화, 지하수 저류댐 등 대체 수자원을 활용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환경부는 4월 광주·전남 지역 영산강·섬진강 유역의 가뭄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지난달 24일에는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용수 공급에 발전용댐을 활용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광주·전남 지역 대책에 이어 나머지 지역에 대한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한 방안 중 하나인 해수 담수화 사업은 현재 대산임해산업지역에서 2020년 착수한 상태다. 환경부 관계자는 “해당 지역 외에 포항도 이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필요한 지역은 더 발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차수벽을 세워 지하수의 유출을 막는 가뭄 대응 시설인 지하수 저류댐과 하수를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재활용하는 하수 재이용 사업도 한 방안이다.

실제 환경부는 기상가뭄이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1월 기상청이 발표한 ‘2022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기상가뭄 발생 일수는 156.8일로 168.2일을 기록한 2015년에 이어 역대 2위였다.

최근 환경부가 ‘물수지’ 계산 과정에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결과 한강 유역에 물수지 ‘적자’라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기후변화로 물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물수지는 특정 지역에서 일정 기간 동안 물의 유입과 유출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기후위기를 많이 고려하지 않다가 최근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분석에 반영하고 있다”며 “대체 수자원을 어떻게든 확보해서 용수 공급에 이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세종=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