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세훈 "경기가 서울된다고 집중화 심해지겠나"

서울대 행정대학원 초청강연

경계 넓히면 어떤 편익 증진될지 연구

오세훈 서울시장이 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김병수 김포시장과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관련 논의 후 백브리핑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오세훈 서울시장이 6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김병수 김포시장과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관련 논의 후 백브리핑을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6일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논의와 관련해 "경기도 행정구역으로 분류된 곳이 서울로 된다고 해서 집중현상이 더 벌어지겠나"라고 반문했다.

관련기사



오 시장은 이날 서울대 행정대학원 초청 강연에서 ‘김포시의 서울 편입으로 인한 인구 과밀화 전망’을 묻는 학생 질의에 "김포시를 비롯해서 구리, 하남 등 서울을 둘러싼 도시들에 이미 살고 계시는 것 아니냐"며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안 그래도 잘 나가는 서울시가 주변 도시까지 흡수하는 모양새가 되면 지방 입장에서는 본능적으로 불편하겠죠"라며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 이 도시들이 서울시에 행정구역상으로 편입된다고 해서 도시 집중화가 심해지겠나"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제가 답을 안 하겠다. 스스로 답을 내려보라"라면서 "그런 식의 분석들이 앞으로 시작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오 시장의 발언은 ‘메가서울’에 긍정적인 의사로 비쳐질 수도 있지만, 서울시는 서울 인접 도시가 편입된다고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지 않는다는 측면의 반론이라고 설명했다. ‘메가시티’에 대한 신중론에는 아직 변화가 없다는 얘기다.

서울시는 이날 김포시와 함께 서울 편입 효과 및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공동연구반'을 구성하고, 서울시 자체적으로는 '동일 생활권 삶의 질 향상 태스크포스(TF)'에서 인접지역 편입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이미 부천, 하남, 구리, 고양 등 도시 연담화(도시가 성장하며 주변 도시와 기능적으로 결합하는 것)가 진행된 도시가 많다"며 "경계를 넓히는 작업이 이뤄지면 어떤 편익이 증진될지 연구해보자"고 제언했다. 그는 또 "(김포시 서울 편입이) 선거 이슈로 제기된 듯하지만, 그래서 더 거부감도 있고 지지성향에 따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니까 내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까지 롱텀 베이스로 놓고 이번 기회에 한번 논의해보자"고 말했다.

이날 오 시장은 서울시 안심소득, 동행주택 정책, 저출생 대책 등 서울시 정책에 관한 강연을 1시간 15분가량 한 뒤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나눴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