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대산문학상 소설가 현기영 , 시인 김기택, 극작가 이양구

수상작 '제주도우다'· '낫이라는 칼', '당선자 없음'·독일어판 '고래'

제31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들. 김기택(왼쪽부터) 시인, 현기영 소설가, 이양구 극작가. 사진 제공=대산문화재단제31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들. 김기택(왼쪽부터) 시인, 현기영 소설가, 이양구 극작가. 사진 제공=대산문화재단




제31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들. 김기택(왼쪽부터) 시인, 현기영 소설가, 이양구 극작가. 사진 제공=대산문화재단제31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들. 김기택(왼쪽부터) 시인, 현기영 소설가, 이양구 극작가. 사진 제공=대산문화재단


올해 대산문학상 수상자로 소설가 현기영, 시인 김기택, 극작가 이양구, 번역가 마티아스 아우구스틴과 박경희가 선정됐다.



대산문화재단은 6일 서울 종로구 교보빌딩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제31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수상작은 현기영의 대하소설 ‘제주도우다’, 김기택의 시집 ‘낫이라는 칼’, 이양구의 희곡 ‘당선자 없음’, 천명관의 장편소설 ‘고래’의 독일어판이다.

관련기사



심사위원들은 현기영의 장편소설 ‘제주도우다’에 대해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 해방 공간에 이르기까지 제주 삶의 실상과 역사를 넘나들면서 4·3의 비극을 넓고 깊게 해부했다”고 평가했다. 또 김기택 시집 ‘낫이라는 칼’은 “오늘의 현실에 맞서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는 지적 생명의 노력을 진보시켰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이양구의 희곡 ‘당선자 없음’은 현실 참여적 희곡 문학의 빼어난 모범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번역 부문을 수상한 ‘고래’의 독일어판에 대해 심사위원들은 “충실성과 가독성을 두루 갖춘 번역으로 이야기의 힘을 살려냈다”고 했다.

현 작가는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제주도의 아름다움과 참혹한 비극을 껴안고 지금까지 왔다”며 “제주도에 포박된 인생이라 늦도록 제주도에 관한 얘기를 썼는데 그런 점을 좋게 봐주신 것 같아 고맙다”고 소감을 말했다. 김 시인은 “코로나 팬데믹 당시 혼자 있는 시간은 내 몸 안팎에서 일어나는 일을 되새김질하는 시간이었고 그 외로움이 시 쓰기에 도움이 많이 됐다”고 말했다.

이 극작가는 “사랑이든 관계든 국가든 균형을 잘 잡고 가야 하는데 균형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에 많은 분이 동의하실 것 같다”면서 “그 균형이 우리 모두가 세심하게 살펴야 하는 문제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대산문학상은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종합문학상으로 매년 시·소설·희곡·평론·번역 부문을 시상한다. 희곡과 평론 부문은 격년제로 돌아가며 시상하며 올해는 희곡 부문 수상자를 발표했다. 시상식은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리며 수상자에게는 각 5000만 원씩의 상금과 양화선 조각가의 청동 조각 ‘소나무’ 상패가 수여된다.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