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내·외 가속기 전문가들, 대전 IBS 모인다

제 25회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콘퍼런스(ICABU2023) 8일 개막

220여 명 가속기 전문가 및 관계자 참여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신동지구에 구축한 중이온가속기 저에너지 가속관. 사진제공=중이온가속기연구소대덕연구개발특구내 신동지구에 구축한 중이온가속기 저에너지 가속관. 사진제공=중이온가속기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는 포항가속기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 한국핵융합·가속기기술진흥협회와 공동으로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콘퍼런스(ICABU·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celerators and Beam Utilization)’ 2023년 행사를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대전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미국 미시간주립대(MSU) FRIB(Facility for Rare Isotope Beams), 독일 뮌헨공대 ‘뮌헨연구로 2호기(FRM-Ⅱ)’, 일본 국립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QST), ‘브라질싱크로트론라이트랩(LNLS·Brazilian Synchrotron Light Laboratory)’ 등 세계 유수 가속기 연구기관 및 대학 소속 초청연사 6명을 비롯, 미국·독일·일본·중국·브라질 등에서 220여 명의 가속기 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MSU FRIB에서 초전도고주파(SRF)·초전도전자석팀을 이끌고 있는 초청연사 팅 쉬(Ting XU) 교수가 FRIB 기술 및 빔 운영 경험을 주제로 콘퍼런스 첫 강연에 나서고 △미국 FRIB과 페르미랩 ‘PIP(Proton Improvement Plan)-Ⅱ’ △독일 뮌헨공대 ‘FRM-Ⅱ’ △일본 QST ‘LIPAc(Linear IFMIF Prototype Accelerator)’ △브라질 LNLS 4세대 싱크로트론광원 등 각국 첨단 가속기들의 기술개발 및 운영 현황과 관련 정보들이 공개된다.

관련기사



또한 국내 대표 가속기 연구기관인 IBS 가속기연·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포항가속기연구소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다목적방사광가속기구축사업단(KPS), 서울대병원 기장중입자치료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가속기 연구개발 및 운영 현황과 성과들도 발표된다.

특히 이번 행사는 ICABU 최초로 4개 워킹그룹 체제를 도입해 △1그룹: 가속기 시스템(Accelerator Systems) △2그룹: 빔물리 및 측정(Beam Physics & Instrumentation) △3그룹: 광원활용(Light Source Utilization) △4그룹: 입자빔활용(Particle Beam Utilization) 등 4개 그룹별로 세션을 구성, 참가자들이 각자의 관심영역에 집중해 참여할 수 있도록 안배했다.

행사 운영위원장을 맡은 IBS 가속기연 홍승우 소장은 “과학의 발전은 연구장비의 발전과 함께 하고 가속기 기술이 발전할수록 새로운 과학적 발견이 가능한 만큼, 가속기 기술개발에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ICABU 활성화를 통해 세계 각국의 가속기 전문가들과 교류의 폭을 넓혀가 우리 가속기과학 전반의 발전 속도를 높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존 사업단 체제를 끝내고 연구소로 출범한 IBS 가속기연은 연구소 체제로 처음 간사기관을 맡아 주관하는 이번 ICABU 행사를 IBS 본원 과학문화센터에서 개최, IBS 희귀핵연구단(단장 한인식)을 비롯한 물리분야 IBS 본원 연구단들과 상승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CABU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지난 1997년 처음 개최한 국제양성자가속기워크숍이 2009년부터 콘퍼런스로 확대 진행돼온 이후 IBS 가속기연 전신인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이 발족한 2011년부터 국내 대형 가속기 연구기관들이 차례로 간사기관을 맡으며 공동주관해 진행해왔다. 내년 제 26회 ICABU는 포항가속기연구소가 간사기관을 맡아 주관하게 된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