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활발하게 해양관광에 참여하며 해양관광 지출 규모 역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전 세계적으로 소비와 생산의 주역으로 떠오른 MZ세대의 소비트렌드를 파악해 우리나라 해양관광의 새로운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KMI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개방된 장소인 바다가 더욱 주목받으면서 MZ세대의 해양관광지 선호 경향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1년 MZ세대의 평균 해양관광 지출액은 20대 19만8427원, 30대 18만6220원 등 전 연령대 평균 17만7760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간 우리나라 해양관광 정책은 시설과 인프라 조성 등에만 집중하면서 급속히 변화하는 MZ세대의 소비트렌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최일선(지역경제·관광문화연구실장) 박사 연구팀이 MZ세대의 생활·소비·여가·관광 트렌드를 다각도에서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소비트렌드의 변화는 관광행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MZ세대의 특징과 소비트렌드는 관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작용했다.
2021년 국내 관광여행 중 20~30대 비중은 41%로 2019년에 비해 5%p 높고 지출 비중도 2018년 38%에서 2021년 45%로 증가하는 등 여행의 일상화에 따라 20~30대가 전체 관광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증가했다.
MZ세대 해양관광 트렌드는 소그룹 중심의 취미형 해양관광으로, 체험활동 중심의 다이내믹한 해양관광 트렌드의 형성 가능성이 높았다.
MZ세대 해양관광객 빅데이터 분석에서는 대도시권 여성 그룹의 해양관광 레저·휴양활동 선호와 소비 증가 패턴이 나타났다.
현장연구를 통해서는 청년 주도 해양관광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MZ세대의 수요와 트렌드를 반영한 로컬지향 소비를 촉진하고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MZ세대 해양관광 트렌드 키워드로 ‘다양성’(DIVERSE)을 제시했다. ‘DIVERSE’는 디지털 기술결합형 △생태계(D) △소규모 개별여행객(I) △가치소비형 해양관광(V) △활동적인 체험활동(E) △휴가·일·놀이의 결합(R)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S) △로컬 지향형(E)을 의미하는 영문 앞 글자에서 따왔다.
트렌드 키워드를 반영해 MZ세대 중심 해양관광 경쟁력 강화’를 해양관광 정책목표로 설정했다. 이어 가치소비를 반영한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생태계 구축, 해양관광 장소 디자인 전략 강화, ICT 기술융합 해양관광산업 활성화 방안, 해양관광 청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해양관광 정보 플랫폼 구축 등 MZ세대 해양관광 정책의 5대 추진과제를 제안했다.
최 실장은 “해양관광 정책 방향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MZ세대 해양관광 트렌드인 ‘다양성’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며 “MZ세대를 고려한 미래 해양관광 산업 논의 확대, 연안지역 발전체계와 연계한 지역 해양관광 정책 전환, 국가 차원에서의 중장기 MZ세대 해양관광 전략 수립, 정부-청년-지역이 선순환되는 MZ세대 해양관광 거버넌스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