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희(사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이 철도 운임을 인상할 계획을 강하게 밝혔다. 올 전기료로 약 6000억 원을 내야 하는 데다 인건비에 수선유지비까지 올랐다는 이유에서다.
한 사장은 7일 경기 고양시 덕양구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기자들과 둘러본 뒤 “국가 전체적으로 물가 인상 걱정이 있다”면서도 “12년째 간선철도 운임이 그대로”라며 이같이 전했다. 코레일 상위 기관인 국토교통부는 여객 운임 상한제를 정해 40㎞ 구간에는 기본 운임, 이후에는 ㎞당 운임으로 거리에 비례한 요금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철도 운임 상한은 1호선 등 광역철도는 2015년 이후, 경부선 등 간선철도는 2011년 이후 각각 동결된 상태다. ★본지 10월 21일자 6면 참조
한 사장은 이날 “(공공요금인) 철도 운임 조정 논의는 후순위로 밀리는 경향이 있다”면서도 “10여 년간 물가 상승과 전철·전기요금도 많이 올랐다. (적어도) 금융 부채가 늘어나지 않는 수준의 철도 운임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간 철도 운임을 억눌러온 탓에 코레일은 만성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코레일의 부채 예상액은 20조 7634억 원에 이른다. 이 중 금융 부채는 15조 원가량이다. 코레일이 금융기관 등에 내는 하루 이자 비용만 10억 원에 달한다. 전기료도 오르면서 코레일은 올해 한국전력공사에 5889억 원을 납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4572억 원보다 29% 늘어난 것이다.
한 사장은 코로나19 시기 부진에서 벗어나 내년쯤 영업흑자 전환을 기대했다. 코레일의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을 보면 코레일은 올해 영업적자를 2308억 원으로 예상하면서 내년에 422억 원의 영업흑자를 전망했다. 다만 소폭 흑자를 낸 것만으로는 누적된 부채를 털어내는 데 역부족이라는 설명이다.
코레일은 서울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는 용산정비창 부지 매각도 추진하고 있다. 코레일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에 대한 계획을 연말 확정하고 개발구역 지정 제안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한 사장은 “용산 역세권 개발 통해 부채 절대액을 줄일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