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영화 15편 1초 처리…SK하이닉스, 초고속 모바일 D램 상용화

中 비보에 LPDDR5T 공급 시작

온디바이스 AI 확장에 수요 늘듯

SK하이닉스가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한 LPDDR5T의 제품 모습. 사진 제공=SK하이닉스SK하이닉스가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한 LPDDR5T의 제품 모습. 사진 제공=SK하이닉스




SK하이닉스(000660)는 현존 최고 속도를 갖춘 모바일용 D램인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LPDDR)5T의 16GB(기가바이트) 패키지를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비보에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LPDDR은 스마트폰·태블릿PC 등 모바일용 제품에 사용되는 저전력 특성의 D램이다. LPDDR5T는 기존 7세대 LPDDR5X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해 SK하이닉스가 개발한 제품이다.

관련기사



제품의 데이터 처리 속도는 초당 77GB에 달한다. 1편에 5GB인 풀HD급 영화 15편을 1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국제반도체표준화기구(JEDEC)가 정한 최저 전압 기준 범위인 1.01~1.12V에서 작동한다.

비보는 자사의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X100과 X100 프로에 이 제품을 탑재해 출시할 계획이다. 이 스마트폰에는 8월 LPDDR5T의 성능 검증을 마친 미디어텍의 최상위 모바일 AP인 디멘시티 9300이 적용됐다.

SK하이닉스는 1월 LPDDR5T 개발에 성공한 후 글로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기업들과 성능 검증을 진행하면서 제품 상용화를 준비해왔다. SK하이닉스는 기기 자체에서 인공지능(AI)을 구현하는 온디바이스 AI 시장의 확장과 맞물려 고성능 LPDDR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