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해 정보 기준 거의 없는…유튜브로 옮겨간 음주 예능

스타 연예인 술기운 빌려 진솔한 대화

만취 모습 노출…음주 문화 조장 비판

배우 황정민. ‘짠한형 신동엽’ 영상 캡쳐배우 황정민. ‘짠한형 신동엽’ 영상 캡쳐




음주 예능 프로그램이 유튜브로 터전을 옮겨가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호스트가 매회 다른 게스트를 초대해 함께 술을 마시면서 신변잡기식의 대화를 나누는 포맷이 대부분이다. '취중진담 토크쇼'를 표방한다.



대표적인 유튜브 음주 예능인 조현아의 '목요일 밤'은 매주 목요일 업로드 되는 콘텐츠. 일반 가정집 같은 촬영 장소는 피아노 두 대와 술상을 차릴 하얀 원탁을 놓으면 가득 찰 정도로 협소하다. 마치 친구 집에 놀러 온 듯한 편안한 분위기를 풍긴다.

관련기사



곧 시즌 3으로 돌아오는 이영지의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도 꾸준한 인기를 끄는 콘텐츠다. 이영지가 실제 거주하고 있는 오피스텔로 게스트들을 초대해 함께 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술의 힘을 빌려 더 진솔한 대화를 끄집어내는 음주 토크쇼는 연일 높은 조회수를 기록 중이지만, 음주 문화를 조장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튜브에서는 연령과 상관없이 누구나 대부분의 콘텐츠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음주 장면 노출이 미성년자에게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다.

TV에서도 음주 예능 프로그램이 여럿 방송된 적 있지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규제 아래 음주 수위를 조절했다. 하지만 청소년 유해 정보 기준이 거의 없는 해외 사업자 유튜브에서는 다르다. 가령 '매일 밤 짠하는 신동엽의 본격 만취 토크쇼'를 표방한 '짠한형'은 호스트와 게스트가 만취할 정도로 술을 마시는 모습을 여과 없이 내보낸다.

술에 취해 몸을 못 가누는 신동엽은 지인에게 들린 채 차에 실리고, 과음한 게스트는 감기는 눈꺼풀을 감당하지 못하고 졸다가 훅 밀려오는 취기에 급기야 바닥에 내려앉기까지 한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