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빚더미 내몰리는 韓기업…부채 증가속도 '세계 2위'

3분기 GDP대비 126%…5.2%P↑

가계부채는 여전히 세계최고 수준





우리나라 기업 빚이 국가 경제 규모에 견줬을 때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빨리 불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규모도 여전히 세계 최대 수준이었다.

1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非)금융 기업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126.1%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중 세 번째로 높았으며 우리나라를 웃도는 나라는 홍콩(267.9%)과 중국(166.9%)뿐이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 증가 폭도 가팔랐다. 우리나라 기업부채 비율은 2분기(120.9%)보다 5.2%포인트나 치솟았다. 증가 폭은 말레이시아(28.6%포인트·58.3→86.9%)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다.

관련기사



가계부채의 경우 우리나라의 GDP 대비 비율이 3분기 기준 100.2%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34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으며 특히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가계부채가 전체 경제 규모(GDP)를 웃돌았다.

다만 한국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101.7%)와 지난해 3분기(104.8%)보다 각 1.5%포인트, 4.6%포인트 떨어졌다. 지난 3분기 금융권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난 사실을 고려하면 GDP 성장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8.9%)은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39.9%)이었고 싱가포르(170.8%)·미국(117.6%)·홍콩(103.4%)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부 부채의 증가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빠른 편이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