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 "英, AI·원전·방산·해상풍력 등 협력 파트너십 강화할 것"

국빈 방문 앞두고 텔레그래프지 서면 인터뷰

"韓, 영국의 글로벌 전략 파트너로 거듭나"

"경제·첨단과학·인적교류 등 미래지향적 협력"

"70여명 경제 사절단 새로운 기회 찾을 것"

"中, 북·러 협력 명성과 위상에 도움되지 않아"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런던 시내에서 한-영 수교 140주년 광고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런던 시내에서 한-영 수교 140주년 광고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런던 시내에서 한-영 수교 140주년 광고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런던 시내에서 한-영 수교 140주년 광고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영국) 방문을 통해 양국은 정치, 경제, 첨단과학기술, 인적 교류 등 제반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디지털·AI, 사이버 안보, 원전, 방산, 바이오, 우주, 반도체, 해상풍력, 청정에너지, 해사 등 각종 분야에서 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을 언급하며 “북한과 중국, 러시아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며 “중국이 러시아, 북한에 동조하는 것은 자국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영국 국빈 방문을 앞둔 20일 영국 텔레그래프지와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영국과의 협력을 더욱 심화·발전시키기를 원한다”며 “동행하는 약 70여 명의 경제사절단은 국빈방문 기간 동안 영국 기업들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찾기 위해 활발히 활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찰스 3세 국왕의 대관식 이후 최초로 국빈초청 받은 국가가 대한민국이라는 사실은 영국이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 글로벌 무대에서의 협력을 위해 한국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보여준다”며 “영국의 글로벌 전략적 파트너로 거듭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보 문제나 러시아-북한 협력 문제에서도 영국과 협력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팬데믹, 기후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무력 충돌 등이 혼재된 복합위기를 겪고 있다”며 “인태지역은 북한의 핵 위협, 대만해협과 남중국해의 긴장요인 등 여러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또 “정부는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남중국해를 포함한 역내의 규칙 기반 해양질서 확립의 중요성을 강조해오고 있다”며 “한국은 동맹국인 미국을 비롯해 영국, 호주와 매우 긴밀한 안보 협력을 추진하고 있고 일본 등 인태지역의 주요 규범 동반자들과도 전략적 공조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에서 열린 한일 정상 좌담회에서 사회자와 대담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에서 열린 한일 정상 좌담회에서 사회자와 대담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중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동아시아에서 자유와 평화, 번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중국은 유엔 헌장과 안보리 결의는 물론, 다른 국제 규범도 노골적으로 위반한 북한 및 러시아와 3국 협력을 추구하는 것이 자국의 국제적 명성과 위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점을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자유, 평화, 번영을 증진하는 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우리 정부는 상호존중, 호혜 및 공동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 발전을 지향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북 협력에 대해서는 “북한의 대러 무기 지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연장해 인적 피해를 가중시킬 것”이라며 “이에 대한 대가로 러시아의 북한에 대한 군사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대한민국의 안보와 역내 평화에 대한 위협행위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이밖에 “러북 군사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 그리고 유럽의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행위”라며 “러북 간의 불법 무기거래를 단호히 반대하며, 국제사회와 함께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강도원 기자·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