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사업용 차량 이력정보 개방…"렌터카·전세차 피해 방지"

올해 사업용 차량 이력 단계적 개방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는 ‘자동차365’ 사이트에서만 제공되던 자동차 이력관리 정보를 핵심 개방 데이터로 선정하고 개방하는 사업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그간 위원회는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 계획에 따라 국민이 원하는 정부 핵심 데이터를 상시 발굴하고 신속 개방하는 ‘데이터 발굴단'을 운영해왔다. 데이터 발굴단은 민간의 수요가 풍부하고 가치가 높은 데이터지만, 개별 법령 등의 사유로 개방이 어려웠던 데이터를 중점 발굴한다.

관련기사



위원회는 행안부·국토부와 협력해, 사업용 자동차의 자동차 종합검사이력 등 각종 이력 정보부터 올해 단계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전세버스, 렌터카 등의 차량 연식 변조로 인한 사고발생 방지를 위해 자동차이력관리 정보 등에 대한 개방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특히, 기존 자동차365 사이트를 통한 단순 정보 조회 형식을 개선해 다양한 민간 서비스 플랫폼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한 오픈API 형태로 내년 3월 개방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사업용 차량에 대한 종합검사이력과 정비 횟수 등 이력관리정보 개방으로 국민이 렌터카나 전세버스를 이용하거나 중고차를 거래할 때 사고 기록이 은폐되거나, 주행거리가 임의로 조작된 차량을 사용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면서 “기존 조회방식 대신 오픈API 형태로 데이터를 개방해 자동차이력관리정보 관련 자료 제공에 수반되는 시간과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