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기존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뛰어넘는 전고체 전지 나왔다

에너지저장연구단 장보윤 박사 연구진 개발

불 안나는 배터리, 산화물 기반 복합 고체전해질 소재로 극복  

국내 최초 고 함량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기반의 고 이온전도성 복합고체전해질 막 개발

고성능 산화물 기반 전고체 전지를 개발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단 장보윤(앞줄 오른쪽) 박사와 김대일(″왼쪽) 책임연구원 등 연구진.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고성능 산화물 기반 전고체 전지를 개발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단 장보윤(앞줄 오른쪽) 박사와 김대일(″왼쪽) 책임연구원 등 연구진. 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저장연구단 장보윤 박사 연구진이 상온에서도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진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복합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는 310WH/㎏의 높은 에너지밀도 성능을 보였RH 구부리거나 자르는 극한 상황에서도 전지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우수한 내구성까지 증명했다.

복합 고체전해질은 고체전해질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고체 전해질 소재를 혼합해 고체전해질 각각의 단점을 보완해 성능을 향상시킨 고체 전해질 소재다.

연구진의 이번 연구 결과는 캐나다 국책연구소인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와의 2년간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결과다. 캐나다의 핵심 광물을 활용한 전고체 전지 기술의 국제협력을 강화해 연구원의 역량 강화는 물론 이를 통해 북미 시장 진출의 중요한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이 개발한 복합 고체전해질은 국내 최초로 기존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의 함량 한계인 30%를 80%까지 높여 이온전도성과 안정성을 대폭 끌어올렸다. 또 고분자를 바인더로 활용해 소재 간 결착력과 안정성을 강화함에 따라 얇게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을 극복해 롤투롤 공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관련기사



연구진이 개발한 복합 고체전해질은 특수하게 설계된 적층형 고분자-산화물 복합전해질이다. 산화물 고체전해질이 80% 함유된 중간층과 이온전도성 첨가제를 함유한 고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이 위-아래층으로 있는 3층 샌드위치 구조다.

연구진은 샌드위치 구조를 통해 양극과 음극이 맞닿은 부분의 저항은 획기적으로 줄이고 고함량의 고체전해질은 이온전도성을 10배 이상 향상시켜 우수한 성능을 발현했다. 이에 더해 복합 고체전해질에 적용된 고분자 전해질의 유연한 특성은 강도가 약해 얇게 만들기 어려웠던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량 양산의 가능성을 열었다.

복합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는 기존 상용이차전지의 에너지밀도 한계(300Wh/㎏)를 뛰어넘는 성능(310Wh/㎏)을 나타냈다. 또 전지를 구부리거나 잘라도 안정적으로 구동돼 발화나 폭발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책임자인 장보윤 박사는 “황화수소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대기업 중심 개발 추세에서 출연연 주도로 안전하고 우수한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기술개발과 사업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며 “기존 한계를 극복하는 배터리 소재 확보를 통해 전기자동차 시장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전고체 전지 스타트업인 에이에스이티에 1차 기술이전을 완료했다. 전기자동차용 전고체 전지의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에이에스이티 박석정 대표는 “글로벌 업체들이 전고체 전지 기술 상용화를 확대해 나가는 시기에 이러한 기회를 얻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향후 전고체 전지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개발협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