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능, 초고난도 문항 30% 줄었지만 변별력 확보"

메가스터디, 가채점 분석

중고난도 문항은 38% 늘어

상위권 국수탐 표준점수 차이 전년보다 커

"초고난도 없이도 변별력 확보한 수능"

사진공동취재단사진공동취재단




지난 16일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정답률 30% 미만 초고난도 문항이 전년도보다 30%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메가스터디교육은 수능 직후부터 17일까지 자사 채점서비스 이용건수 68만여건을 분석한 결과 올해 수능에서 정답률이 30% 미만인 초고난도 문항 수는 46개로 지난해 66개보다 20개(30.3%) 감소했다고 21일 밝혔다.



구간대별로 정답률 10% 미만은 8개로 지난해(13개)보다 5개(38.5%) 줄었다. 10~20%대는 15개로 지난해(17개)보다 2개(11.8%), 20~30%대는 23개로 지난해(36개)보다 13개(36.1%) 감소했다.

관련기사



반대로 정답률이 30~40%인 중고난도 문항은 93개로 지난해(58개)보다 35개(37.6%) 늘었다.

초고난도 문항이 줄었지만 상위권 변별력은 확보했다고 메가스터디는 분석했다.

메가스터디가 이용자 상위 1000등의 표준점수 합산(국어·수학·탐구)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위권 내에서의 점수 차이는 지난해보다 크게 나타났다. 동점자도 전년보다 적었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가채점 결과상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147점(언어와매체), 수학은 148점(미적분)으로 추정될 정도로 어렵게 출제됐다"며 "그러면서도 정답률이 아주 낮은 문제가 크게 줄고 상위권 분포가 고르게 나타나 '초고난도 문항 없이도 변별력을 확보한' 수능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