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물가 급등에 전세계 라면 소비 급증, 1212억 그릇 끓여먹었다

소비량 상위국 중국·홍콩·인도네시아

한국은 미국·필리핀에 이어 8위

이달 15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이 라면을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이달 15일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이 라면을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라면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약 50여개 나라에서 1212억 그릇의 라면을 끓여 먹은 것으로 집계됐다.



2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인플레이션으로 생계비 부담이 커진 각국의 중산층들이 라면 소비를 늘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장 많은 라면을 먹은 국가는 중국이었고 이어 홍콩과 인도네시아였다. 베트남과 일본이 4·5위를 차지했으며 한국은 미국과 필리핀에 이어 8번째로 라면 소비량이 많은 국가였다.



가디언은 특히 인도가 3위에 오른 점에 주목했다. 라면을 먹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 국가에서도 라면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멕시코에서는 2021년 라면 수요가 17.2% 증가했고 코로나19 팬데믹이 사실상 끝난 지난해도 11% 성장했다. 미국에서도 생계비 부담을 덜기 위해 인스턴트 라면을 먹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 라면업체 닛신식품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새 생산공장을 짓고 캘리포니아·펜실베이니아주에 있는 기존 공장 규모를 키우는 데 2억2800만달러(약 2948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미국 닛신식품의 마이클 프라이스 대표는 “해마다 매출이 늘고 있다”며 “특히 최근 5년은 우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전례 없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경쟁 식품업체인 도요수산도 급증하는 수요에 맞추기 위해 2025년까지 미국과 멕시코에 생산시설을 짓겠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 회사는 “정기적으로 라면을 먹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맛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세계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은 닛신식품 설립자인 안도 모모후쿠가 1958년 8월 시장에 내놓은 '치킨라면'이다.

라면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을 겪으며 진정한 ‘글로벌 식품’으로 거듭나고 있다. 인도네시아 등 무슬림이 많은 국가에선 할랄 버전을, 인도에선 향신료 가람 마살라를 첨가하는 등 현지 취향을 공략한 라면 제품들도 속속 출시됐다. 젊은 층의 인구가 급증하는 인도와 아프리카,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향후 라면 시장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라면도 해외에서 날개 돋힌 듯 팔리고 있다.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라면 수출액은 7억8525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24.7% 늘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