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자의 눈] 고금리에도 체질 개선은 뒷전





“대출 없는 자영업자가 어디 있냐, 내 몸 갈아서 버티는 거지.”

경기도의 한 중소도시에서 5년째 고깃집을 운영하는 친구가 얼마 전 한탄했다. 고금리·고물가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데 주 고객층이 비용에 민감해 가격도 제대로 올리지 못하고 간신히 이자만 내며 버티고 있다는 것이다.



기준금리가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연 3.50%인 상황이 1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고금리가 점차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은행이 조사하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석 달 연속 하락하며 부정적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반도체 수출이 살아나 성장률만 보면 경제가 회복되는 것 같아도 눈에 잘 띄지 않는 자영업자나 중소기업은 점점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

관련기사



물가 목표 2%에 수렴하기까지 고금리 고통은 길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고금리가 고통만 안겨주는 것은 아니다.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나 좀비기업 퇴출 등으로 생산성을 높인다면 체질 개선을 이뤄낼 기회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장은 힘들어도 다시 뛰기 위해 몸을 가볍게 만들어놓는 것이다.

문제는 우리나라가 이번 고금리 국면에서 디레버리징을 사실상 건너뛰었다는 것이다.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1.7%인데, 회계 기준 변경 효과를 걷어내면 104.0%다. 역대 최고치인 105.6%(2021년 9월)에서 1.6%포인트 줄이는 데 그쳤다. 이마저도 다시 늘어난다. 올 3분기 가계 신용 잔액은 1875조 6000억 원으로 3개월 만에 14조 원 넘게 증가해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GDP 대비 부채비율이 100%를 넘었던 국가 가운데 노르웨이(112.9%→78.7%), 덴마크(110.4%→84.4%), 호주(122.0%→110.6%), 캐나다(111.7%→101.9%) 등은 불과 2년 만에 눈에 띄는 디레버리징을 이뤄냈다.

당국과 한은은 중장기적으로 디레버리징을 한다지만 부동산 경기에 따라 태도는 또 바뀔 가능성이 있다. 줄여야 할 때 줄이지 못한 부채는 앞으로 정책 운영 과정에서 계속 발목을 잡을 것이다. ‘고통 없이 얻는 것도 없다(No pain, No gain)’는데 이러다 ‘고통만 겪고 얻는 것은 없다(Only pain, No gain)’가 될까 우려된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