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양모빌리티 육성 본격화…“2027년 점유율 12% 달성”

◆첨단 해양모빌리티 육성 전략

2027년까지 자율운항 선박 개발

LNG 등 친환경 연료 인프라 구축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연합뉴스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자율운항 선박 등 첨단 해양 모빌리티 육성을 본격화한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5년 내 12배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친환경 선박 보급 확산을 위해 세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27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첨단 해양 모빌리티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첨단 해양 모빌리티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올해 1%에서 2027년 12%로 높이는 게 핵심이다. 2050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2027년까지 해운업 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30%까지 저감하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유럽·미국 등에서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 자율운항 선박 등 기술을 개발·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첨단 해양모빌리티 분야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해수부는 우선 2027년까지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운항이 가능한 자율운항 선박을 개발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선박이 주변 선박 등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위험성을 평가해 최적 항로를 설정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선박이 엔진, 발전기 등 기관 데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운전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설비 고장을 진단·예측하는 시스템도 개발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내년 상반기 내 1만 8000TEU(1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급 컨테이너선도 건조해 자율운행 선박 기술 실증에 활용한다.

자율운항 기술 고도화를 위해 2025년까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GPS)도 개발한다. GPS의 오차 범위를 기존 10m 이상에서 5cm 이내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또 선박용 내비게이션인 ‘바다내비’ 보급 확산을 위해 2027년까지 단말기 구입비의 절반을 지원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단말기 설치시 항해 장비 설치 의무 등을 면제해주는 등 규제 완화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환경 선박 지원도 대폭 늘린다. 우선 민간 선사가 친환경 선박을 새로 도입할 경우 외항선 기준 선가의 7~10%를 보조금으로 지급한다. 내항선은 최대 30%까지 보조금이 지급된다. 민간 선사의 친환경 선박 도입을 유도하기 위해 대출 금리 우대, 취득세 감면 등 세제 혜택도 지원한다. 친환경 연료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27년까지 울산항, 광양항, 평택항 등에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도 구축한다. 해수부는 내년까지 암모니아 인수·저장설비도 구축할 계획이다. 조 장관은 “미래연료 공급망과 인프라를 확충하고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시장을 활성화하겠다”고 했다.


세종=이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