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연체율 늘자…저축銀 중금리대출 1년새 반토막

상반기 연체율 5.3% 2배 증가에

3분기 대출취급 8.8만건으로 급감

취급액도 1.4조로 53.7%나 줄어

공급량 축소…중저신용자들 '한숨'


업황 악화에 시달려온 저축은행 업계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금리 대출을 1년 새 절반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금융의 통로 역할을 해온 저축은행마저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중저신용자 및 다중채무자 등의 돈줄이 막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의 중금리 신용대출(사잇돌대출 제외) 취급 건수는 8 8384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9만 4836건)과 비교해 절반 이상인 54.6%나 줄어든 것이다. 취급액 역시 같은 기간 3조 1436억 원에서 1조 4546억 원으로 53.7% 급감하며 반 토막이 났다.



저축은행 업계의 민간 중금리 신용대출 취급 건수는 지속해서 쪼그라드는 추세다. 지난해 1~3분기까지 저축은행의 분기별 중금리 신용대출 취급액은 2조~3조 원 사이를 유지해왔다. 취급 건수 역시 14만~19만 건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조달금리의 상승을 불러온 지난해 4분기 레고랜드 사태를 기점으로 대출 영업이 급격히 위축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4분기 중금리 신용대출 취급 건수는 9만 2000건, 취급액은 1조 5000억 원으로 줄어들었고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1조 7000억 원, 11만여 건 수준으로 소폭 회복하는 듯했지만 3분기 들어서는 1조 5000억 원 아래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11만 건 수준을 유지해온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 취급 건수도 20% 넘게 줄었다. 지난 레고랜드 사태 당시보다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진 셈이다.

실제 중금리 신용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 수도 지난해 33곳에서 30곳으로 줄어들었다. 기존 중금리 대출을 실행해온 일부 저축은행은 상품 점검 등을 사유로 재공급 시점을 늦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용점수가 낮은 저신용자의 경우에는 상황이 더욱 어렵다. 지난해 3분기 33곳 중 23곳(69.7%)이 신용점수 600점 이하 고객을 대상으로 중금리 신용대출을 내줬던 것과 달리 올해는 30곳 중 절반 수준인 18곳(55.5%)만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신용대출을 취급했다.

저축은행이 주력 상품 중 하나인 중금리 신용대출 공급을 대폭 축소한 원인으로는 높아진 조달비용과 연체율 상승 등이 꼽힌다. 그동안 저축은행은 주로 예금을 통해 수신액을 채워왔다. 통상 저축은행의 경우 시중은행보다 0.8~1%포인트 높은 예금금리를 제공해 경쟁력을 확보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과도한 수신 경쟁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예금금리가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인 4%대에 머물고 있어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졌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에는 수신금리 상승 등 조달비용이 상승해 (중금리 신용대출 공급 시) 역마진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고금리 장기화 등의 여파로 연체율이 지속해서 상승하는 점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저축은행의 총여신 연체율은 5.33%로 2022년 말(3.41%)보다 1.92%포인트 뛰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도 4.08%에서 5.61%로 1.53%포인트 올랐다. 특히 전체 79개 저축은행 중 금융 당국의 권고 기준선인 고정이하여신비율 8%를 넘긴 곳도 상반기 15곳에 달하는 등 올해 연체율 관리가 최대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고금리 등 차주들의 상환 여력이 축소된 상황에서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필요한 시기”라며 “업계에서 대출을 일시적으로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이 중금리 대출을 걸어 잠그면서 취약차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